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월급 60% 주담대 상환”...영끌족의 비명
이자급등에 주담대 차주 DSR
3년 6개월 만에 60%대 돌파
신용대출도 보유시 상환 한계
취약차주·고위험가구 증가 우려

#. 직장인 A씨는 지난 5월 내 집 마련의 설렘을 안고 만기 30년 원리금 균등상환 조건으로 주택담보대출 3억원을 받았다. 연 4.0%의 금리로 매달 143만원의 원리금을 상환하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6개월 새 금리가 크게 뛰면서 A씨의 부담이 커졌다. 주담대 금리가 6.14%로 상승하면서 이자만 월 40만원씩 늘어 매달 상환해야 하는 원리금이 183만원이 됐기 때문이다. 대출 당시만 해도 연봉 4500만원인 A씨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38%로 금융당국의 규제 기준 아래였다. 현재도 빌린 돈은 그대로지만 이자가 늘어나면서 DSR이 49%로 올라 월급의 절반을 대출을 갚는 데에 바치게 됐다.

금리가 급등하면서 ‘영끌’로 대출을 받아 내 집을 마련했던 차주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주담대에 신용대출까지 받은 차주의 채무 상환 부담은 이미 한계를 넘어섰다는 분석이다.

▶주담대 보유차주 평균 DSR 60%...월급 절반 이상 대출로= 26일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기준 주택담보대출 보유차주의 평균 DSR은 60.6%로 3년 6개월 만에 다시 60% 선을 넘어섰다.

DSR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을 뜻한다. 현재 차주별 DSR은 총대출액 1억원 초과 시 40%(은행 기준)로 규제되고 있다.

2019년 1분기(60.2%)까지 60%를 넘었던 주담대 차주 평균 DSR은 2020년 1분기 이후 55% 안팎을 유지했으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지난해 3분기 57.1%, 4분기 57.8%, 올해 1분기 58.7%, 2분기 59.4% 등으로 꾸준히 상승한 뒤 3분기에는 60%를 돌파했다.

대출 당시에는 DSR이 40% 이내였던 차주가 금리 상승으로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DSR이 올라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주담대·신용대출 동시 보유 시 DSR 70%...상환 부담 한계점=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동시에 보유한 차주의 채무 상환 부담은 이미 한계를 넘어선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이 주담대와 신용대출 동시 보유 차주의 DSR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월 말 기준으로 70%에 달했다.

주담대·신용대출 동시 보유 차주의 DSR은 지난해 6월 말 64.6%에서 9월 말 65.1%, 12월 말 65.9%, 올해 3월 말 66.9%, 6월 말 67.7%, 9월 말 69.2%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통상 DSR이 70%를 초과하는 경우 소득에서 최저 생계비를 제외했을 때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대출자로 분류된다. 주담대·신용대출 동시 보유 차주의 경우 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DSR 상승은 연체율 증가로 이어져 금융시장의 위험(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여건 악화 시 취약차주·고위험가구 증가 우려= 한은은 비취약차주의 소득 또는 신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충격이 발생할 경우 가계 취약차주 비중이 상당폭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취약차주는 전체 가계에서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이용)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차주를 뜻한다. 취약차주수 비중은 올해 3분기 기준 6.32%를 기록 중이다.

한은은 “금리 상승 폭과 실물경기 상황이 최근과 비교적 유사했던 2016년 2∼4분기, 2017년 2∼4분기 비취약차주 중 약 1.8%가 취약차주로 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향후 대내외 여건 악화시 과거와 같이 취약차주 비중이 8%를 상회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금리 상승에 주택 가격 하락까지 더해지면서 부채 상환이 어려운 고위험가구가 급증할 가능성도 있다.

향후 각 가구가 보유한 주택의 가격이 지난 6월 말 대비 20% 하락할 경우 상환 부담이 크고, 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고위험가구의 비중이 3.3%에서 4.9%로 확대될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금리 상승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이 빠르게 조정되는 경우 가계의 순자산이 크게 감소하면서 고위험 가구 비중이 빠르게 상승할 여지가 있다”면서 “부동산업, 건설업 등 관련 기업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을 많이 취급한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경 기자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