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H, 공공재개발 5곳 재정착 강화 연구용역
원주민이 원하는 지원방안 발굴
서울 동대문구 전농9구역 현장 모습.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공재개발 원주민 맞춤형 재정착 지원을 위해 ‘공적역할 강화를 위한 공공재개발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연구용역’의 착수보고회를 오는 27일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공공재개발사업 추진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들의 주거 및 생활안정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된다.

기존의 ‘재정착’은 단순 사업대상지로의 복귀를 의미했다. LH는 이번 용역을 통해 사업 준공 이후 주민들이 기존 생활지로 돌아와 새롭게 구축된 인프라로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구 여건, 원주민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지원방안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용역은 제안서 평가위원회 등 절차를 거쳐 (사)한국주거학회 컨소시엄이 진행하기로 했다.

용역대상은 ▷전농9 ▷장위9 ▷성북1 ▷거여새마을 ▷봉천13으로 서울시 내 공공재개발 사업지구 12개 중 사업 진행 단계 등을 고려해 선정됐다.

연구용역은 ▷지구현황 분석 ▷원주민 설문조사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및 지구특성화 방안을 내용으로 하며, 연구 과정에서 도출되는 관련 제도 등 정책 건의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오주헌 LH 수도권도시정비특별본부장은 “이번 용역을 통해 자금이 부족하거나 거주지를 옮기고 싶지 않은 분 등 원주민들의 상황이나 여건을 정밀하게 살펴 주민이 원하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공통적인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다른 지구에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신혜원 기자

hwsh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