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 인상 여파?…2030 '영끌' 열풍 시들해졌다
올해 30대 이하 주택매입 비중 최저
최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족으로 불리는 20·30세대의 주택 매입 비중이 올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 여파로 주택자금 마련 부담이 커졌기때문인데, 당분간 젊은층의 주택 매입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별 주택매입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 1~10월 전국 주택 매매량(44만9967건) 중 30대 이하의 주택 매매량은 10만8638건으로 전체의 24.1%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9년 이래(1~10월 기준) 가장 낮은 비중이다.

지난해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은 27.1%에 달하면서 '영끌' 열풍이 불었지만, 올해는 주택 매입 비중이 전년 대비 3.0%포인트(p)나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에서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1~10월 대전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28.5%였는데 올해는 23.6%로 줄었다.

수도권에서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곳은 경기도였다. 지난해 경기도에 집을 산 30대 이하 비중은 31.7%였지만 올해는 27.5%에 그쳤다.

같은 기간 서울은 32.1%에서 28.0%로 줄어들었고, 인천은 27.0%에서 22.5%로 하락했다.

한편,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곳은 성동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성동구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43.9%였는데 올해는 26.8%로 전년 대비 17.1%p나 하락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