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동차 눈 새로운 진화’ LG이노텍, 세계 최초 자율주행 플라스틱 렌즈 개발
DMS와 ASAS용 플라스틱 렌즈 개발
성능↑ 가격 ↓…카메라 모듈 시장 선점
‘고객 경험 혁신’ 위한 기술 개발 강조
LG이노텍이 개발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의 모습. [LG이노텍 제공]

[헤럴드경제=김지헌 기자] LG이노텍이 ‘고성능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이하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 2종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플라스틱 렌즈를 적용해 크기를 줄이고 가격 경쟁력을 높인 제품이다. 이번 개발로 LG이노텍은 글로벌 자율주행용 카메라 모듈 시장에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용 카메라 렌즈는 탑승자의 안전에 직결되는 부품으로, 카메라 모듈에 장착된다. 주행보조, 운전자 움직임 인식을 위한 자율주행 솔루션의 핵심부품이며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2025년 이후 전 차량에 대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을 장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번에 LG이노텍이 개발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는 DMS용과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용 2가지다. 렌즈 내부에 얇은 플라스틱과 유리를 교차 적용하여 성능을 더 높인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자율주행용 렌즈는 온도나 외력에 변형되지 않는 유리로만 제작됐었다. 특히 ADAS렌즈에 플라스틱을 적용해 고성능을 구현한 것은 LG이노텍이 세계 최초다.

LG이노텍의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는 완전 유리 제품보다 20~30%가량 두께가 줄었다. 얇아지면서 고객사의 차량 내·외부 디자인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 장점을 지닌다.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성능을 유지하며 물체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주안점을 뒀다. 가격 경쟁력도 높였다는 분석이다. 유리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채용해서다.

LG이노텍은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를 앞세워 글로벌 차량용 카메라 모듈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현재 DMS용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양산을 앞두고 있다. ADAS용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도 개발을 끝내고 내년 시장 출격 준비를 마쳤다.

강민석 LG이노텍 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은 “설계와 검증이 까다로운 렌즈 개발을 단기간에 성공한 점은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큰 성과”라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용 카메라 시장은 2021년 4조2000억원에서 2025년 7조9000억원으로 연평균 17%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다.

ra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