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우크라 평화 협상 성사되나, 젤렌스키 “푸틴이 직접 협상 원한다는 암시 받아”
전쟁 발발 후 평화 회담 진행…접점 못찾아
우크라, 남부 일부 도시 수복으로 전세 변화
미 “러시아 철수하게 하는 정치적 해법 있을 수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AP,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서방 국가들로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에 나서길 원한다는 ‘암시’를 받았다고 16일(현지시간) 말했다.

우크라이나 영자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푸틴이 (막후 협상 대신) 직접적인 협상을 원한다는 암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간 푸틴 대통령과 공개적인 대화를 요구해왔다는 점도 강조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올해 2월 전쟁이 발발한 직후 여러 차례 평화회담을 진행했으나 러시아의 영토 양보 요구를 우크라이나가 완강히 거부하면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또한 4월 초 러시아군에게 점령됐다가 해방된 키이우 인근 부차 등 여러 도시에서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 정황이 드러나면서, 우크라이나는 자국 영토에서 러시아군이 완전히 철수하기 전에는 협상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권좌에서 물러나야만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전했다.

최근 우크라이나가 동부 돈바스와 헤르손 등 남부 일부 지역을 수복하면서 양국의 평화 협상 가능성이 힘을 받고 있는 분위기다. 우크라이나를 지원해 온 서방국 사이에서 전쟁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이 짙어지고 있고, 전세계 물가가 치솟는 등 전쟁의 여파가 겉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는 것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을 부추기고 있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최근 우크라이나를 방문했을 때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외교적 해법을 통한 종전 방안을 떠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거의 9개월간 이어진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매번 실패를 거듭한 반면, 우크라이나는 승승장구해 이제는 러시아군 완전 철수를 요구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다”면서 “러시아가 철수하게 하는 정치적 해법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서방은 협상 여부가 여전히 우크라이나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양국 협상을 타국이 밀어붙일 경우, 자칫 우크라이나에 타협을 압박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우리는 (협상) 결정의 주체는 우크라이나이지, 우리가 아니란 점을 거듭 말해왔다”고 밝혔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