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젤렌스키 "푸틴, 직접 대화 원한다는 암시 받아"
고개든 평화협정설
서방국가들 "결정은 우크라 몫"

[젤렌스키 텔레그램]

[헤럴드경제]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 직접 대화에 나서길 원한다는 암시를 받았다고 16일(현지시간) 말했다.

우크라이나 영자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이 (막후 협상 대신) 직접적인 협상을 원한다는 암시를 받았다"고 이날 기자들에게 말했다고 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동안 크렘린궁과의 공개적 대화를 요구해왔고, 여러 차례 평화회담도 진행했다. 하지만 러시아의 영토 양보 요구를 우크라이나가 완강히 거부하면서 접점을 찾지 못한 상황이다.

4월 초 러시아군에게 점령됐다가 해방된 키이우 인근 부차 등 수도권 여러 도시에서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 정황이 드러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이후 우크라이나는 자국 영토에서 러시아군이 완전히 철수하기 전에는 협상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권좌에서 물러나야만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덧붙였다.

그러나 최근 우크라이나가 대반격에 나서 동부 돈바스와 헤르손 등 남부 일부 지역을 수복하면서 러시아군이 크게 위축되는 상황에서 평화 협상설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우크라이나를 적극 지원해 온 서방국 사이에서도 전쟁이 9개월째로 접어들어 장기화하면서 피로감을 보이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전쟁으로 식량과 원유, 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까지 겹친 상황이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원조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미국에선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하원을 차지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5일에는 윌리엄 번스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해 젤렌스키 대통령과 현지 정보당국 관계자들을 면담하기도 했다. 번스 국장의 우크라이나 방문은 14일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러시아 대외정보국(SVR)의 세르게이 나리시킨 국장을 만난 직후 이뤄져 주목을 받았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안보보좌관도 최근 우크라이나를 방문했을 때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외교적 해법을 통한 종전 방안을 떠본 것으로 알려졌다.

마크 밀리 미 합참의장은 16일 기자회견에서 거의 9개월간 이어진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매번 실패를 거듭한 반면, 우크라이나는 승승장구해 이제는 러시아군 완전 철수를 요구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다면서 "러시아가 철수하게 하는 정치적 해법이 있을 수 있다"며 "협상이라는 것은 자신이 강하고 상대가 약할 때 원하게 되는 것이다. 정치적 해법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협상 여부는 어디까지나 우크라이나가 결정할 몫이라는 점을 공식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협상론이 자칫 우크라이나에 타협을 압박하는 모습으로 비칠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날 밀리 합참의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협상의 적기는 언제일까"라며 "우리는 결정의 주체는 우크라이나이지, 우리가 아니란 점을 거듭 말해왔다"고 강조했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