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남부지방 겨울 가뭄에 전방위 대응 나선다
올해 초부터 이어진 가뭄이 갈수기에 접어들면서 심화되는 가운데 지난달 강수량이 평년 수준을 크게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광주광역시 주요 식수원 중 하나인 주암댐의 모습. [목포시 제공]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호남과 제주 지역 겨울 가뭄에 정부가 급수지원 및 대책 마련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17일 농식품부, 환경부 및 광주, 전남, 제주 3개 시도와 함께 이들 지역의 가뭄대책을 긴급 점검하고, 가뭄지역 급수지원 및 추가적인 대안을 강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들 지역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은 665㎜로 평년의 65.5%에 불과하다. 또 내년 1월까지 강수량도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저수지와 댐의 수위도 낮아지고 있다. 지난 15일 기준 전라남도에 소재한 주암댐과 평림댐의 저수율은 각각 34.2%, 33.1%, 광주지역 주요 상수원인 동복댐은 32%로 앞으로 2~3개월간 비가 오지 않을 경우 용수공급에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 이들 지역 도서와 산간지역에는 10월부터 운반급수 및 병물 제공 등 비상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비상급수 대상도 10월 5073명에서 11월에는 완도 6268명, 화순 54명, 통영 75명 등 1만1470명으로 늘었다.

행안부는 지난 9월 교부된 가뭄극복 특별교부세 60억원이 빠르게 집행되도록 독려하고, 남부지방 가뭄피해 해소를 위한 예산 수요를 추가 조사하여 다각적인 지원을 모색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노지 밭작물 물 부족 우려 지역은 저수지, 양수장 등 가용 수자원을 활용해 용수 공급을 지속 지원한다.

특히 내년 영농에 대비해 4월 말까지 저수율이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저수지에 대해서는 물 채우기와 영농기 직접 급수시설 설치 등 선제적 용수확보대책을 수립, 추진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내년 홍수기 전까지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다양한 가뭄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최적의 댐 운영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댐용수를 인근 수원에서 대체 공급하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실장은 “남부지방 가뭄 상황을 지속 점검하여 정부 차원의 신속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과 지방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가뭄 극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