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中정상회담 ‘미완의 봉합’…韓 경제·안보 불확실성도 지속
바이든 “차이 관리하고 경쟁의 갈등 비화 막아야”
시진핑 “中, 美 도전하거나 美 대체할 의도 없다”
바이든 “대만 현상변경 반대”vs 시진핑 “레드라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대면 미중정상회담을 가졌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대원·손미정 기자] “더 대결적이지도, 더 타협적이지도 않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중정상회담에서 보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반응에 대한 평가는 회담의 분위기와 결과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대면 미중정상회담을 가졌다. 주요 2개국(G2)으로 글로벌 패권을 놓고 다투고 있는 양국의 정상은 경쟁하되 갈등은 피한다는 대전제에는 공감했지만 경제와 대만, 인권문제 등 각론에 있어서는 입장차를 재확인했다. 양 정상은 애초 예상된 시간을 훌쩍 넘긴 3시간 12분가량 회담을 가졌지만 공동성명과 같은 합의문은 없었다. 공급망 재편과 북핵문제 등 미중관계의 영향권에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셈이다.

양 정상의 만남은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과 이에 반발한 중국의 대규모 무력시위로 긴장이 치솟은 이후 열린다는 점에서 시작 전부터 세계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의 상원 다수당 지위 유지로 선전하고, 시 주석이 지난달 제20차 공산당 당대회를 통해 3연임을 확정한 뒤 열린 이번 회담은 향후 미중관계를 가늠할 방향타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양 정상은 미중관계가 갈등과 대립이 아닌 공존과 협력을 추구해야 한다는 데 있어서 공통인식을 보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리는 차이를 관리하고 경쟁이 갈등으로 비화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상호협력을 필요로 하는 의제들에 대해 협력하는 방안을 찾을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 역시 “중국은 미국에 도전하거나 미국을 대체할 의도가 없다”면서 “양측은 서로 존중하고 평화롭게 공존하며 윈윈 협력을 추구해야 한다”고 호응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별도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과 열려있고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며 “우리는 활발하게 경쟁하겠지만 갈등을 예상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양 정상은 충돌 방지와 소통 채널 유지에 합의하고 정상회담 후속 논의를 위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내년 초 방중에도 합의했다. 일단 경쟁은 하되 협력한다는 원칙에 공감하고 대화를 이어가기로 함으로써 대만문제로 격화된 긴장을 누그러뜨리고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다는 점을 평가할 수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대면 미중정상회담을 가졌다. [AP]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경제와 대만문제 등을 둘러싸고 팽팽한 기싸움을 펼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비시장적 경제조치에 대해 우려한다고 지적한 반면 시 주석은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 등을 겨냥해 ‘무역전쟁’, ‘기술전쟁’이라면서 디커플링(탈동조화)과 공급망 단절은 시장경제 원칙에 어긋난다고 반박했다. 미중 공급망 갈등과 대중 무역적자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달갑지 않은 대목이다. 대만문제와 관련해서도 바이든 대통령이 일방에 의한 현상 변경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자, 시 주석은 대만문제는 미중관계에서 넘어서는 안되는 첫 번째 ‘레드라인’이라고 맞받아쳤다.

아울러 한국 입장에서는 북한이 7차 핵실험 감행 태세를 감추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미중정상회담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오지 못한 점도 아쉽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와 관련한 중국의 의무를 언급하면서 북한이 7차 핵실험 등을 감행할 경우 추가적인 방위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다만 “중국이 북한을 제어할 수 있다고 확신하기 어렵다”고 말해 시 주석이 대북 영향력 행사와 관련 확답을 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중국 외교부는 미중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면서 양 정상이 우크라이나 사태 등 다른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지만 북핵문제 등 한반도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하지 않았다.

shindw@heraldcorp.com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