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근로시간 10년간 10% 줄었지만...여전히 OECD 5위
지난해 근로시간 연간 1915시간
OECD 평균은 10년간 3.2% 감소

우리나라 노동자의 근로 시간이 지난 10년간 10% 넘게 줄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감소폭의 3배를 웃돈다. 하지만 한국의 근로시간은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5위로 중남미 국가들 다음으로 많으며, OECD 평균보다 약 200시간 넘게 많았다.

14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근로 시간은 연간 1915시간으로 OECD 38개 회원국 중 5위였다. 멕시코가 2128시간으로 1위이며 코스타리카(2073시간), 콜롬비아(1964시간), 칠레(1916시간) 등 중남미 4개국이 1~4위에 포진했다. 독일은 1349시간으로 가장 적었다. 한국의 근로 시간은 독일의 1.4배로 566시간 많았다.

또 덴마크(1363시간)와 룩셈부르크(1382시간), 네덜란드(1417시간), 노르웨이(1427시간) 등 유럽 선진국들의 근로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미국은 1791시간으로 8위, 일본은 1607시간으로 21위였다. OECD 평균 근로 시간은 1716시간이다. 한국이 OECD 평균보다 199시간 많다.

지난해 한국 근로 시간은 10년 전인 2011년보다 10.3%(221시간) 정도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11년에는 한국의 근로 시간이 2136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였다. 코스타리카가 2285시간으로 더 많긴 하지만 코스타리카는 작년 5월 OECD에 가입한 국가로 2011년 당시 OECD 회원국이 아니었다. 콜롬비아는 2018년 가입했다.

한국의 근로 시간은 2011년 1위에서 2012년 멕시코에 이어 2위로 내려온 이후에는 2017년까지 2위를 유지했다. 이어 콜롬비아가 OECD에 가입한 2018년 콜롬비아·멕시코에 이어 3위가 됐고 이후 2020년까지 3위였다가 코스타리카가 OECD에 가입한 지난해 멕시코·코스타리카·콜롬비아·칠레에 이어 5위가 됐다.

순위 하락에는 한국의 근로 시간이 줄어든 영향도 있지만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이 OECD에 가입한 영향이 컸다. 한국과 OECD 평균과의 격차가 크게 줄었다. 지난 2011년에는 한국의 근로 시간이 2136시간으로 OECD 평균(1772시간) 대비 364시간(20.5%)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한국 1915시간으로 OECD 평균(1716시간)보다 199시간(11.6%) 많았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