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 기준금리 연 3.75% 도달”…성장률은 1.7%로 둔화
한국금융연구원 2023년 전망 세미나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 3.75%까지 오를 것”
“물가와 금융안정 우선시 해야”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 광고.[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국내 기준금리가 내년 상반기 연 3.75%에 도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8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2년 금융 동향과 2023년 전망 세미나’에서 “국내 기준금리는 대외여건과 국내 물가 대응 필요성을 고려할 때 내년 상반기에 연 3.75%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한미 기준금리는 내년 초 정점에 도달한 후 하반기 물가 안정에 따라 인하 가능성이 시장금리에 반영되는 게 기본 시나리오”라면서도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경로에 불확실성이 커 기준금리 경로에도 높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음식점 가격표.[연합]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5.2%의 높은 수준을 기록한 뒤 내년 중 3.5%까지 낮아질 것으로 관측했다. 연구원은 “소비자물가는 내년 상반기에도 공급자 물가 압력이 지속되며 상승세를 이어가겠으나 하반기 들어 고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공급압력 완화 등에 따라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국제유가, 글로벌 공급망 등의 대외 불확실성과 기대인플레이션 확산 가능성을 고려할 때 내년 물가 경로도 하방보다는 상방 위험이 크다고 진단했다.

올해 연평균 환율은 1305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구원은 “내년에는 미국 금리 인상 사이클의 종료, 유럽중앙은행(ECB) 긴축 전환 등으로 달러 강세가 완화되겠으나 현재 수준의 기저효과로 연평균 환율이 1360원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한 거리 풍경.[연합]

경제성장률은 올해 2.6%에서 내년 1.7%로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국의 긴축 정책에 따라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에 따른 경기 반등도 약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4.5%, 내년 2.1%로 각각 전망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성장 및 고용 둔화, 자산 가격 하락, 가계부채 부담 등이 증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총수출과 총수입 증가율 또한 올해 3.4%와 3.6%로 낮아진 후 내년 중 1.0%와 1.7%까지 각각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재화 교역을 견인하던 정보기술(IT) 품목 수요는 약화하겠지만 서비스 교역은 여행제한 완화 등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경상수지 흑자 폭은 올해 312억달러로 축소된 이후 내년 326억달러로 횡보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원은 “내년 해외여행 정상화 등으로 서비스 수지 흑자 폭이 축소되고 세계 경제 부진에 따라 상품 수출도 부진할 것”이라면서도 “원자재 가격이 점차 낮아지면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거시경제정책은 물가의 상방 위험과 대외불확실성에 주로 기인한 성장의 하방 위험이 높다는 점에서 물가와 금융안정 등을 우선시해 우리 경제의 대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