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IPO, 전년 대비 95% 감소…경기침체 우려 여파
M&A도 43% 감소…안전자산 선호에 따라 회사채 발행도 힘들어져
[A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치고 있는 경기침체 우려란 칼바람에 고금리까지 더해지면서 미국 월스트리트에 찬 바람이 불고 있다. 얼어붙은 시장 상황을 고려해 기업들이 상장 시기를 미루는 한편,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도 찬 바람이 불고 있기 때문이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금융정보업체 딜로직을 인용해 지난달 미국에서 상장된 기업들의 전체 공모 규모가 16억달러(약 2조20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서 95% 감소했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9월과 10월 두 달간 미국에서 성사된 M&A의 전체 규모 역시 2190억달러(약 309조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감소했다. 지난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한 것과 비교하면 분위기가 180도 달라진 것이다.

M&A 건수가 줄어든 것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로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기준금리가 사실상 ‘제로’에 가까웠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훨씬 더 큰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주식과 채권시장의 혼란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은 회사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힘들어졌다. 이 기간 기업들이 인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피인수 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하는 자산담보부증권(CLO) 발행 액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97%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침체 우려에 따라 안전자산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가 늘어났기 때문에 CLO 발행 자체가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기업 보유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의 하락으로 담보가치가 떨어진 것도 CLO 발행 액수 감소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 같은 시장 상황은 일부 기업들을 생사의 갈림길로 몰아넣고 있다. 인터넷 소매업체 인조이 테크놀로지는 지난해 10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통해 상장에는 성공했지만, 이후 자금 조달과 투자자 확보에 실패해 지난 6월 파산보호신청을 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