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래핀 10만 층 쌓아 단결정 흑연 합성…전자기기 전도성 향상
UNIST 연구진, 베이징대와 공동 연구
다결정 흑연보다 강도높고 유연성 높아
배터리·휴대전화 등 차세대 전자기기 활용
UNIST 전경.[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래핀을 10만 층 높이로 쌓아 '완벽한 단결정 흑연'을 합성했다고 30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펑 딩(Feng Ding) 교수는 중국 베이징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단결정 흑연 필름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된 흑연은 일반 흑연보다 열이나 전기의 전도성이 뛰어난 데다 얇고 유연해, 붙이거나 접을 수 있는 배터리와 휴대전화 등 차세대 전자기기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흑연은 판상형 물질인 그래핀이 켜켜이 쌓여 있는 형태로 이 그래핀 층들은 서로 고정하는 힘이 스카치테이프로 떼어낼 수 있는 수준으로 약하다. 층 사이가 잘 고정되지 않아 그래핀들이 쉽게 다결정 형태로 으스러져 단결정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연구팀이 합성한 흑연 필름은 천연 흑연이나 기존 인조 흑연과 달리 완벽한 단결정 형태다. 흑연 필름 면적은 1제곱인치에 이를 만큼 크고 내부 불순물도 0에 가깝다. 그래핀 층간 간격도 이제껏 나온 어떤 흑연보다 조밀해 강도가 뛰어나다.

두께는 3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정도로 그래핀을 10만 층 쌓아 올린 두께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쓰는 고체 상태 탄소 원료를 활용하는 새로운 합성법으로 이 흑연을 만들었다. 이 합성법은 원료가 기판 뒤에서 공급되는 방식으로 기판으로는 특수 니켈 필름을 사용했다. 니켈 필름의 표면 전체도 흑연을 올려 단결정 형태로 합성하는 데 유리한 편평하다.

펑 딩 교수는 “인조 흑연 합성 기술이 나온 지 100년이 지났지만, 이 정도로 완벽한 수준의 흑연 필름이 유의미한 크기로 합성된 적은 없었다”며 “이번에 합성된 흑연은 차세대 전자기기의 재료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기술 분야 학술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27일 자로 공개됐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