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10명 연쇄성폭행범 ‘수원 발발이’ 박병화 출소…수원정착설에 공포 확산
이재준 수원시장 “절대 수원 정착안된다”
31일 출소…신상미공개로 옆집에 누가 살까 우려 확산
징역 15년형 마치고 출소
이재준 수원시장 페북 캡처.

[헤럴드경제(수원)=박정규 기자]이재준 수원시장이 연쇄성폭행범이 수원에 정착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했다.

이 시장은 28일 자신의 SNS를 통해 ‘시민의 안전을 위해, 한치의 물러섬 없이 함께 저항하겠다’라는 글을 올리고 “2002년부터 5년간 수원시 일대에서 여성 10명을 성폭행한 연쇄 성폭행범이 출소 후 수원에 정착할 수 있다고한다”고 알렸다.

성폭행범은 신상조차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경기도 수원 일대에서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연쇄 성폭행하고 금품을 빼앗은 혐의를 받은 일명 '수원 발발이' 박병화가 오는 31일 형기를 마치고 출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시장은 “수원시민은 그의 얼굴도 모른 채, 옆집에 누가 살까 두려움에 떨어야 하는 상황이다. 오늘 수원시민들의 뜻을 김영진, 박광온, 백혜련, 김승원 수원시 국회의원님과 함께 법무부에 전했다. 시민 안전을 위해, 우리는 연쇄 성폭행범을 단호히 거부한다”고 했다.

그는 “출소자 거주를 판단하는 보호관찰사무에 대한 심사위원회에 시민의 목소리를 담아달라. 시민의 목소리를 담지 못하는 제도는, 지방자치시대를 역행이며 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다. 2019년에만 60명이 전자발찌를 차고도 범죄를 저지르는 현 상황에서, 정작 보호받아야할 시민의 안전은 대체 어디에 있냐”고 반문했다.

이어 “치료감호제, 보호수용제, 어떤 이름이든 상관없다. 흉악범의 재범을 차단하고,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강력한 제도를 절실히 요구한다. 시민의 안전에는 어떤 양보와 타협도 있을 수 없다. 우리는 시민을 위해서라면 지역공동체와 함께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병화 씨는 지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수원시 영통구와 권선구 일대에서, 주로 혼자 사는 20대 여성들을 성폭행하고 금품까지 빼앗은 혐의로 징역 15년형을 선고 받았다. 경찰과 지자체 등에 따르면 박씨의 출소 이후 거주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으나 수원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그가 구속 전 수원시에 살았던 점 등을 비추어 볼 때, 수원 소재 법무부 산하 시설에 입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관계자는 "광역단체가 출소자의 주거를 제한할 법적 규정은 없다"면서도 "다만 출소자가 기관에 배치될 때 지역 선정에 있어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법무부에 낸 상황"이라고 밝혔다.

수원시도 박 씨 출소와 관련한 대응책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남부경찰청은 박 씨의 거주지가 정해지는 대로 위치추적 관제센터, 보호관찰소 등 관계 기관과 핫라인을 구축해 공동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특별대응팀을 꾸릴 계획이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