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철도 파업 눈앞...물류대란 오나
‘신호 노조’ 사상 첫 잠정합의안 부결
선로 유지·보수 노조 부결 이어
‘빅 2’ 노조 마저도 가결 불투명
현실화땐 하루 2조8308억 손실
내달 19일 돌입 전망, 인플레 가중

미국 화물 운송의 약 30%를 담당하는 철도가 관련 노동자 파업으로 멈춰 설 위기에 빠졌다. 지난달 극적으로 마련된 잠정합의안에 대해 철도 노동조합 중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선로 유지·보수 노조가 반대한 데 이어 신호 관련 노조까지 잠정합의안을 부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양대 철도노조도 잠정합의안 가결이 불투명한 가운데, 다음 달 중순까지로 예정된 교섭 재개 시점까지 새로운 합의안이 나오지 않고 파업으로 연결될 경우 공급망 위기가 현실화하면서 기록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심화에 대한 부담 역시 가중될 전망이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 CNN비즈니스에 따르면 철도 신호 노동자를 대표하는 노조인 ‘철도신호인형제단(BRS)’은 이날 잠정합의안을 놓고 표결을 실시한 결과 찬성 39.2%(1820표)로 부결됐다고 밝혔다. 이날 투표율은 60.5%(2810표)를 기록했다. BRS는 미국 내 주요 화물철도 부문 신호 노동자 7300명(전체 화물철도 노조원의 5.9%)을 대표하는 단체다.

마이클 볼드윈 BRS 회장은 부결 직후 성명을 통해 “BRS가 잠정합의안을 놓고 실시한 표결 가운데 사상 최고의 투표율을 기록했고, 역사상 처음으로 잠정합의안을 부결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내 12개 화물철도 관련 노조의 대표 격인 전국운송사업자회의위원회(NCCC)는 대규모 파업을 하루 앞둔 지난달 15일 사측과 20시간에 걸친 마라톤협상 끝에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여기엔 오는 2024년까지 임금을 24% 인상하고, 5년(2020~2024년) 간 총 5000달러(약 708만원)를 보너스로 지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BRS만 잠정합의안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 아니다. 전체 화물철도 노조원의 19.2%를 대표하며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선로 유지·보수 노조 ‘BMWED’도 지난 10일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해 찬성 43%, 반대 57%로 부결됐다고 발표했다.

이 밖에도 아직 투표를 진행하지 않은 화물철도 노조 ‘빅(big) 2’인 엔지니어 노조와 승무원 노조에서도 가결을 장담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파업 위기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각에선 당장 11월 19일이 지나면 화물철도 노조가 파업에 돌입해 물류망이 마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 미국 화물철도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우려된다. 미국 동·서부 해안 항구에 있는 수입 물품들이 미국 대륙 곳곳으로 원활하게 수송되지 못하면서 공급망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한 추가적인 물가 인상이 야기될 수 있어서다. 화물철도 노조 파업에 따른 하루 경제 손실액이 20억달러(약 2조8308억원)에 이를 것이란 예상치도 나왔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