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전쟁 전후 경산·강진·무안 민간인 희생사건, 좌익·빨치산 소행”
진화위, ‘경산·강진·무안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진실규명
한국전쟁 전후 이들 사건으로 민간인 103명 희생돼
“국가, 유족에 공식 사과하고 추모 사업 등 지원해야”
전남 무안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관련 비석.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한국전쟁 당시 경북 경산, 전남 강진 등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사건은 좌익과 공산주의 비정규군 ‘빨치산’에 의한 것으로 국가가 희생자와 유족에 대한 공식 사과를 해야 한다는 판단이 나왔다.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위원회(진화위)는 전날 서울 중구 남산스퀘어빌딩에서 제43차 위원회를 열고 ‘경북 경산 박사리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전남 강진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 ‘전남 무안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결정을 내렸다고 19일 밝혔다.

진화위에 따르면 경산 박사리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은 한국전쟁 전인 1949년 11월 빨치산이 주민 신고로 근거지를 토벌당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마을 주민 32명을 죽이고 2명을 다치게 한 사건이다.

강진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은 한국전쟁 발발 후 1950년 8월 초부터 1951년 7월 초 사이에 강진에서 43명이 인민군, 지방 좌익, 빨치산에 의해 희생된 사건으로 판단했다.

무안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사건은 한국전쟁 발발 후 인민군 퇴각시기인 1950년 9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전남 무안군에서 민간인 28명이 지방 좌익에 의해 희생된 사건으로 규명했다.

진화위는 이들 사건에 대해 “국가는 국민의 생명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다하지 못해 국민이 희생되고 유족에게 피해를 준 것에 대해 희생자와 유족에게 공식 사과하고 추모 사업 지원과 평화인권교육을 실시하라”고 권고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