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 교육급여 수급 학생들보다 교육복지사 턱없이 부족
수급학생 2만3020명, 교육복지사 246명에 불과… 서울·경기도 마찬가지
전국, 수급 학생 31만6456명, 교육복지사 1539명뿐
강민정 의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학생들 소외되지 않게 대안 마련해야”
인천시교육청의 교육복지사 교육 모습.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이 교육급여 수급 학생들보다 교육복지사는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으로도 마찬가지이다.

19일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국회의원이 공개한 관련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교육급여 수급 학생은 31만6456명에 달하지만, 이들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복지사는 1539명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복지사 1인당 학생 206명 수준이다.

교육급여 수급 학생이 많은 수도권 지역의 경우 교육복지사가 상당히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은 교육급여 수급학생이 2만3020명이지만, 교육복지사는 인천 246명으로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교육복지사 1인당 학생 94명 수준인 셈이다.

서울은 4만1873명에 293명, 경기는 6만5321명에 289명이다.

교육급여 수급 학생 이외에도 차상위계층 자녀, 보호대상자인 한부모가족의 자녀 등등 취약층 학생들이 다수 있을 것을 고려하면 이들 학생들을 케어할 교육복지사의 수가 너무나도 부족한 상황이다.

교육복지사가 부족하기 때문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를 선정하더라도 해당 학교에 교사를 배치하지 못하고 있다.

인천의 경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 선정한 학교 246교 중 교육복지사가 배치된 학교가 129개교(전체의 52.44%)이다.

서울은 전체 중 70%에 가까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에 교육복지사를 배치하지 못하고 있고 경기는 40.14%이다.

특히, 경기는 초·중·고 학교 수가 2448개교에 달하는데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으로 선정한 학교 수 자체도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강민정 의원은 “코로나19 이후 사회 양극화 심화로 취약층 학생들의 어려움은 더욱 늘어가고 있다”며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학생들 한명한명이 소외되지 않고 교육복지 지원을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각 시·도교육청은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IMF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사회양극화, 교육불평등 해소를 위해 시행됐으며 교육취약계층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습, 문화 체험, 심리·정서 지원, 복지 등의 차원에서 지원하는 사업이다.

교육부 훈령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을 보면, 사업대상 학생은 교육급여 수급권자, 차상위계층의 자녀, 보호대상자인 한부모가족의 자녀, 북한이탈주민 보호대상자의 자녀, 다문화가족의 자녀, 특수교육대상자 등등 정말 우리 사회의 교육취약층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대상이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