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감]서울시, 중국산 에디슨모터스 전기버스에 3년간 417억원 지원
2019·2020년 봐주기 업체평가 의심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쌍용차 인수를 통해 주가를 조작한 혐의를 받고있는 에디슨모터스가 중국산 전기버스로 서울시로부터 3년간 417억원의 보조금을 챙겼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12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전기버스 회사 보조금 지급 현황’료에 따르면, 에디슨모터스는 서울시와 2019년 29대의 전기버스 납품을 계약해 58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2020년에는 74대를 계약, 받아간 보조금이 148억원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134대 계약에 211억원으로 더 증가했다. 에디슨모터스가 지난 3년간 서울시에서 받은 전기버스 보조금은 417억원에 달한다.

김 의원은 에디슨모터스의 전기버스는 중국 ‘장쑤 신강 오토모티브(JJAC)’로부터 차제부터 배터리, 전기모터까지 주요 부품들을 모두 들여와 조립한 것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혈세가 사실상 국내 생산이나 고용과 사실상 관련이 없는 중국 기업에게 그대로 들어갔다는 의미다.

김 의원은 “중국산 부품을 가져다가 한국에서 조립했다고 국산으로 취급하여 사실상 중국기업에 막대한 보조금을 안겨주며 경쟁력을 키워준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 과정에서 차량 가격 이상의 보조금으로 에디슨모터스와 중국 회사들이 부당 이익을 얻었다는 지적도 함께했다. 업계에 따르면 통상 중국산 전기버스 수입 가격은 2억2000만원으로 추정되지만, 국토부, 환경부, 지자체 보조금은 3억원이 넘는다. 대당 1억원 이상 딜러 마진 및 리베이트 여력이 생긴다는 의미다.

한편 서울시는 2019년부터 전기버스 회사에 대한 종합 평가를 하고 있다. 김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에디슨모터스는 현대에 이어 전체 2위로 평가를 받았고, 2020년에는 현대를 제치고 차량 성능 및 A/S 평가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전체 총점 1위까지 기록했다.

하지만 에디슨모터스의 쌍용차 인수설이 불거진 2021년도에는 업체평가계약 및 이행신뢰도와 가격 및 제안 조건에서 최하점을 받으며 6위로 평가 점수가 추락했다.

김 의원은 “2021년까지 에디슨모터스가 조잡한 기술력을 앞세워 전국 지자체에 전기버스를 팔아 막대한 보조금을 챙기고 나서는 이후에는 쌍용차 인수전에 뛰어들며 주가조작으로 ‘먹튀’ 출구전략을 마련했다”고 지적하며 “정권 특혜 의혹이 과다한 에디슨모터스 전기버스 납품과정에 대해 조속한 시일 내에 정부와 지자체의 정밀 합동 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