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진핑 순방 효과...유엔 ‘신장 인권 침해 토론’ 무산
해외 순방지 무슬림 국가 반대표 행사
찬성 17, 반대 19, 기권 11로 부결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추진한 중국 신장 지역에서의 위구르족 인권 침해 의혹과 관련한 유엔 인권위원회 특별 토론이 6일(현지시간) 무산됐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유엔 인권위원회 47개 회원국이 ‘신장 보고서’에 관한 토론 여부를 투표에 붙인 결과, 찬성 17표, 반대 19표, 기권 11표로 나와 2표 차로 부결됐다.

앞서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신장 위구르족 인권 조사 보고서를 지난 8월 31일 발표한 뒤 미국 등은 이를 국제사회에서 공론화하고자 했다. 반면 중국 정부는 “허위, 날조 보고서”라고 강력 반발해왔다. 이번 투표에서 토론을 반대한 국가가 많이 나온 결과를 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외교 일정과 연결지어 중국의 외교 승리로 보는 시각도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여러 무슬림 국가들이 신장 토론에 반대표를 행사했다”며, “이 중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지난달 시 주석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이후 2년 8개월 만에 해외 순방에 나선 첫번 째 방문지였다”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지난달 14일 카자흐스탄을, 15~16일 우즈베키스탄을 찾았다. 중앙아시아에서 중국 영향력 다지기 행보였다. 당시 유혈사태를 겪은 카자흐스탄의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고, 대신 신장 인권 문제에 대해 물타기 시도를 했을 것이란 분석이 따랐다.

기권한 11개국에는 우크라이나와 인도, 말레이시아와 아르헨티나, 브라질, 멕시코 등이 포함됐다.

한국은 “규범에 바탕을 둔 국제질서를 존중한다는 점에서 국익에 부합한다”고 밝히며 찬성했다.

찬성한 국가들과 인권단체들은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부상하는 가운데 유엔이 인권 문제를 중재하는 능력을 잃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유엔의 주요 인권기구가 유엔의 자체 인권 사무소의 조사 결과를 무시한 코미디”라 고 비판했다. 한지숙 기자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