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대강 환경부 국정감사서 다시금 논란..."녹조"vs"경제손실"
야당 "녹조 국민 위협하는데, 尹정부 4대강 보 지키기 우선"
여당 "보 개방으로 소수력발전량 줄어 손실…농어민에 피해배상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4대강’이 다시금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됐다.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올해 낙동강에 녹조가 심했던 점을 언급하면서 “환경부가 보를 개방해 물흐름을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녹조제거제 살포 등 부가조치만 하면서 위험을 키웠다”고 비판했다. 실제 낙동강엔 6월 중순부터 조류경보(경계)가 내려져 지난달 초까지 남부지방 가뭄이 이어지면서 녹조가 심하게 발생했다.

이수진 의원은 “보 개방 문제는 정치적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면서 “녹조 독소가 물·공기·농산물·국민을 위협하는데 윤석열 정부는 건강과 환경이 아닌 4대강 보 지키기가 우선인 듯하다”고 주장했다.

여당 의원들은 문재인 정부 때 4대강 보를 개방해 소수력발전량이 줄어서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고 맞섰다.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은 한국수자원공사서 받은 자료를 인용, 4대강 16개 보 소수력발전량은 2013년부터 2017년 5월까지 116만1320MWh(메가와트시)에서 2017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86만619MWh로 줄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관련 매출액은 1334억7800만원에서 800억2900만원으로 약 534억원 감소했다. 소수력발전은 적은 양의 물을 작은 낙차에서 떨어뜨려 전기를 만드는 것이다. 이주환 의원은 “(보 소수력발전량이 줄어) 문재인 정부부터 야심 차게 추진한 탄소 저감에도 막대한 손실을 봤다”고 지적했고, 이에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아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주환 의원은 정부가 2019년 4월부터 2020년 6월까지 4대강 보 개방으로 지하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피해를 봤다고 주장한 농어민에게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총 13억8100만여원을 배상한 것도 공개했다.

같은 당 박대수 의원은 문재인 정부 때 ‘4대강 조사·평가 전문·기획위원회’ 전문위원 43명 가운데 25명을 ‘4대강 재자연화’를 주장하던 시민단체가 추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구성이 편향적이었다고 주장했다.

환경부는 이날 국회에 제출한 업무보고에서 “수질·생태·이수·친수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해 기후위기에 대응한 보 최적 운영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진행되는 감사원 공익감사 결과를 반영하겠다”고도 했다. 환경부는 지난 7월 대통령 업무보고에도 “4대강 보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한편, 현 정부 출범 후 환경부가 4대강 보와 관련해 ‘운영’과 ‘활용’에 방점을 찍으면서 보를 ‘해제·개방’한다는 전 정부 정책을 뒤집고 보를 유지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