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골목상권 점포주 연령·매출 높을수록 디지털 전환 효과 크다
서울기술연구원, 점포주 설문조사 진행결과 발표
40대 이상 점주, 연매출 1억~10억 사이 효과 높아

서울 골목상권 점포주의 연령과 매출 규모가 높을수록 디지털 기술 적용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가 크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15일 나왔다. 사진은 골목상권 점포주가 원하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서울시 지원정책 항목.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김용재 기자] 서울 골목상권 점포주의 연령과 매출 규모가 높을수록 디지털 기술 적용에 따른 매출 증대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기술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신한카드와 공동으로 ‘서울시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전환 기술 적용방안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7월 13∼14일 서울시 골목상권에 소재한 서울페이 가맹점주 29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디지털 전환 기술 적용이 매출에 유효한 효과가 있다’는 응답은 30대 점포주(20.7%)보다 40대(30.6%)와 50대(34.3%)에서 많았다.

또 매출 규모별로는 연 1억원 미만일 때(14.3%)보다 1억∼10억원일 때(17.3%) 응답률이 높았다.

디지털 전환 기술에 대한 골목상권 점포주들의 수요도는 마케팅 분야에서 ‘이커머스 플랫폼’, 배송 분야에서 ‘지역 커뮤니티 기반 거래 기술‘, 결제 분야에서 ‘애플리케이션(앱) 기반 결제’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을 위해 필요한 서울시 지원 정책으로는 맞춤 교육(39.1%)과 간편결제 시스템에 대한 재정 지원(21.1%), 개별 점포 스마트 기술 도입 재정 지원(14.2%) 등이 꼽혔다.

연구원은 이번 조사를 기반으로 매출 증대 효과가 높은 사용자군과 부문별 기술 요소의 우선순위 등을 파악해 골목상권의 디지털 기술 도입을 단계적으로 고도화하는 보급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

연구원은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코로나19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골목상권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당 조사를 실시했다고 전했다.

임성은 서울기술연구원장은 “골목상권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대세가 되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라면서 “상대적으로 영세한 골목상권 점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