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까지 물가 오르고 경기도 어렵다
한은 내년 성장률 2.1% 제시
잠재성장률 2.0% 수준
물가상승률은 2.9%→3.7%로 올려

[헤럴드경제=성연진·박자연·김광우 기자] 한국은행이 25일 사상 첫 기준금리 네 차례 연속 인상을 결정한 배경에는 물가 상승 압박이 가장 크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5.2%로 높이고, 경제성장률 전망을 2.6%로 하향했다. 고물가와 경기둔화 우려 가운데 물가가 더 급하다고 본 것이다.

실제 통화정책의 목표는 ‘물가안정’이고, 물가 전망을 지난 5월보다 0.7%포인트 상향한 것과 달리, 경제성장률은 같은 기간 0.1%포인트 하향에 그쳤다. 올해 물가상승률이 한은 전망대로 5%를 넘어서게 되면 외환위기였던 1998년 이후 24년만에 가장 높다.

문제는 내년이다. 한은은 2023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1%로 제시했다. 잠재성장률 2.0%에 턱걸이 하는 수준이다. 물가 전망도 동시에 2.9%에서 3.7%로 0.8%포인트 상향했다.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 2.0%와 비교하면 내년에도 물가 불안 및 경기 둔화가 이어질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이에 사실상 한국경제의 체력이 약화됐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여기에 주요국 경기둔화와 이로 인한 외환시장 불확실성, 사상 최대로 불어난 무역수지 적자 등을 감안하면 경기 하방 압력은 더 커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서울 한 재래시장 모습.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전통시장 추석 차례상 품목 구매 비용(4인가족 기준)은 30만1000원으로 지난해보다 2만6500원(9.7%)이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는 40만8420원으로 2만4600원(6.4%) 늘었다. [연합]

내년까지 경기 어렵다...하반기엔 ‘성장’ 없어

하반기는 사실상 0% 혹은 마이너스 성장이 예고됐다. 한은이 내다본 연간 2.6%의 경제성장률은 올 상반기 우리나라 성장률 2.9%를 감안할 때 역성장을 의미한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3%를 제시한 바 있다.

물가상승률은 이미 7월까지 누적으로 4.9%를 돌파했다. 전례없는 폭우 피해가 추석 수요 증가세와 맞물려 물가가 더 밀려올라가면 당분간 6%대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이어지며 압박은 더 커질 전망이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고물가에 마이너스 성장까지 이뤄진다면 내년 경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 한은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을 3.7%로 상향하고, 경제성장률을 2.1%로 내려잡았다.

물가가 오르면 소비가 줄어 경기에 악영향을 준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잠재성장률 수준 성장 자체를 거시적 의미에 경제가 나쁘다고 볼 순없다”면서 “다만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소비자들이 위축돼 국내 소비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2일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컨테이너 터미널에 수출 대기 중인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있다. 국가재정이 만년 적자상태를 면치 못하는 가운데 올들어 이달 20일까지 누적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250억달러을 넘으면서 ‘쌍둥이 적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천=임세준 기자

고환율에 물가도 상승압박...美 긴축·中리스크 등 대외불확실성도 커져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 특성상 국내 뿐 아니라 주요국 상황도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올 들어 이달까지 254억7000만달러로 사상 최대로 불어난 누적 무역 적자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 둔화 가능성을 높일 뿐 아니라 외환시장 불안도 야기하는 요소다. 미국의 강도 높은 긴축과 이로 인한 강달러도 원화 가치를 떨어뜨려 수입 물가 상승 및 수출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국지적 봉쇄와 부동산 위험에 따른 중국 경기 부진도 대중(對中) 수출을 위축시킬 리스크로 지목된다. 실제 올해 대미, 대EU 수출은 14.1%, 3.7% 늘어난데 비해, 대중국 수출은 13.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은 “물가가 7~8월 정점을 찍는다고 보고 있으나, 연말까지는 지금과 같은 완만한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다만 대외 여건에 따라 수출 상황이 좋지 않고, 투자도 많이 줄고 있어 성장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제 정세를 감안할 때 경기가 뾰족하게 개선되기 어려운 상태다”면서 “무역수지 적자 등을 반전시키기 위해선 수출 다변화에 나서야 하는데 빠른 시일 내 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기에 반등을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yjsung@heraldcorp.com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