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폐경여성, 비만 심하면 갱년기 증상 더 증가
체지방률과 대사적 건강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으며, 체지방 비만과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가 동반되었을 때 대표적 갱년기 증상인 혈관운동 증상(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발생이 훨씬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폐경에 접어든 중년여성이 비만도가 높으면 폐경쯤에 발생하는 갱년기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증상인데 비만일수록 이런 증상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특히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을수록 더욱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현철) 데이터관리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 연구팀은 2014년~2018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42세 이상 52세 이하의 폐경 전 갱년기 여성 4600여 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먼저 비만을 나타내는 수치 중 하나인 체지방률에 따라 그룹을 분류했다. 그 결과 ▷정상 체지방률(〈25%)에 비해 ▲경도비만(30~34.9%)의 경우 갱년기 증상이 1.42배 증가, ▷중등도 비만 (≥35%)의 경우 갱년기 증상이 1.6배가 증가했다. 이어 연구팀은 혈압과 혈당 등 대사질환 지표 동반 여부에 따라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의 영향을 나누어 비교했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경우, 정상 체지방률에 비해 체지방 중등도 비만 (≥35%)의 경우 1.34배 갱년기 증상 발생 위험이 증가했으며,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경우, 정상 체지방률에 비해 체지방 중등도 비만 (≥35%)의 경우 3.61배 갱년기 증상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상태란 혈당, 혈압,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인슐린 저항성 지표가 모두 정상인 경우로 정의된다.

이 결과를 통해 체지방률과 대사적 건강수준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으며, 체지방 비만과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상태가 동반되었을 때 대표적 갱년기 증상인 혈관운동 증상(안면홍조 및 야간발한) 발생이 훨씬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류승호 교수는 “그동안 갱년기 여성의 비만과 갱년기 증상 간의 관련성을 본 연구는 있으나, 대사질환을 동반한 비만이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최초”라고 밝혔다. 장유수 교수는 “폐경 전 여성은 갱년기 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와 갱년기 증상의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으로의 발전을 예방하기 위해 정상 체지방률을 유지하고, 대사적으로 도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