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사설] 두 달 연속 6%대 고물가, 경기 후폭풍 최소화해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6.3% 올라 근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환율 급등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른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다. 지난 6월 6.0%에 이어 두 달 연속 6%대 이상을 기록한 건 1998년 10월(7.2%), 11월(6.8%) 이후 23년8개월 만이다.

치솟던 유가가 잠잠해지자 농산물발 물가폭풍이 바통을 이어받는 모양새다. 올여름 무더위와 잦은 비로 채소와 과일 작황이 나빠진 데 따른 것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일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는 6709원으로, 1년 전보다 89%, 오이는 75%나 뛰었다. 복숭아 10개들이 가격은 2만2381원으로, 전년 대비 32.8% 올랐다. 농수산물값 급등은 각종 가공식품, 외식 서비스 가격의 도미노 상승을 부른다. 지난달 공공요금 인상에 전기·가스·수도도 15.7% 상승하며 전월(9.6%)보다 오름폭을 키웠다. 이 같은 상승률은 조사가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그동안 물가급등세를 견인했던 국제유가 급등 등 대외적 요인이 조금씩 완화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단됐던 선박을 이용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도 1일 재개됐다. 지난해 8, 9월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데 따른 역기저 효과로 8월에는 물가오름세가 지금처럼 심각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넉 달 연속 적자를 기록한 데다 한미 금리 역전으로 원/달러 환율이 고공 행진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소비자물가는 앞으로도 불안불안한 흐름을 이어가 7~8% 오름세를 시현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물가상승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의 생활고를 덜어줄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부가 내년도 기준중위소득(4인 가구 기준)을 5.47% 인상해 사회안전망을 높인 것은 잘한 일이다.

물가급등은 소비침체와 기업 투자를 위축시키고 경기침체를 앞당기는 악순환을 유발한다. 근로자에게는 임금인상 명분으로 작용해 기업의 생산비용 전가와 제품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등 인플레이션을 더 악화시키는 고리가 된다. 이렇게 인플레이션 심리가 확산되면 우리 경제 전반에 고비용 구조가 고착될 수밖에 없다. 한국은행이 물가를 잡기 위한 추가 빅스템(0.5% 인상)에 신중한 것도 민생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충격이 너무 커서다. 정부는 통화, 환율에서 세금, 재정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모든 카드를 활용해 고물가가 경제에 미치는 후폭풍을 최소화하는 데에 진력해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