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경기침체 공식 진입 놓고 ‘갑론을박’
美 상무부 발표 2분기 GDP 증가율 연율 -0.9%…1분기 이어 두 개 분기 연속 역성장
바이든 “2분기에도 경제 발전 신호”…대통령·재무장관·연준 의장 나서 경기침체 선 그어
기술적 경기침체와 달리 공식 선언은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의해 규정
낙관론 “노동시장·개인지출 강력” vs 비관론 “금리 인상 시 노동시장 약화 가능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화상으로 만나 발언하고 있다. [A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에 진입한 것인지 아닌지를 놓고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미국의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이 -0.9%(연율 기준)로 발표되자, 통상 시장에서 ‘기술적 경기침체’로 받아들이는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현실화했다는 의견과 여전히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노동 시장과 소비경기 등을 근거로 경기침체는 아니라는 반론 사이의 공방이 뜨겁다.

이에 따라 공식적으로 경기침체 여부를 선언하는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진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연준, ‘R 공포’ 지우기 안간힘

미 상무부는 2분기 GDP 증가율이 -0.9%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미국 경제는 지난 1분기(-1.6%)에 이어 두 개 분기 연속 역성장으로 정의되는 시장의 기술적 경기침체 기준에 다다랐다.

그러나 바이든 행정부, 미 연준은 경기침체 진단에 선을 그으며 ‘R(recession·경기 침체) 공포’ 지우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나섰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대응 과정에서 지난해 반등했던 경제성장세가 악영향을 받았지만, 고용·소비·투자 등이 견고하다며 경기 둔화가 일시적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 글로벌 도전 과제에 직면했지만 올바른 경로 위에 있고 더 강력하고 안전하게 전환기를 헤쳐나갈 것”이라고 했고, 같은 날 오후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화상으로 만나서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던) 2분기에도 경제 발전의 신호를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옐런 장관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제 성장에 있어 뚜렷한 둔화를 목격하고 있지만, 경기 침체는 일어나고 있지 않다”며 “강력한 노동시장을 유지하면서도 물가상승률을 내리는 길이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파월 의장 역시 전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미국이 경기침체 상태라 생각하지 않는다. 반드시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견고한 노동시장·개인소비…“경기침체와 거리 멀어”

미국 경제가 공식적으로 경기 침체 상황에 놓였는지 여부는 NBER의 ‘경기순환결정위원회’ 결정에 의해 규정된다. 소득, 지출, 고용, 생산 등의 다양한 경제 요소가 얼마나 크게 또는 얼마나 오래 변화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해 경기침체 여부를 판정하는 만큼 NBER이 공식적으로 경기침체를 선언하기까지 1년 이상 걸리는 일도 많다.

역사적으로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은 결과적으로 대부분 공식적인 경기침체 선언으로 이어졌으나, GDP만 보고 경기침체 여부를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대표적인 지표로 미국의 실업률은 4개월 연속 3.6%로 최근 50년 사이 최저치에 근접했고, 신규 고용과 임금 인상 역시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실물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개인소비지출 역시 여전히 플러스(1%) 성장세를 유지했단 사실도 경기침체와 거리가 멀다는 점을 시사한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개최한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와 화상 회의에서 재닛 옐런(왼쪽) 미국 재무장관이 발언하는 모습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바라보고 있다. [AFP]

또 상반기 GDP를 가장 크게 끌어내린 기업의 재고투자 감소와 무역수지 악화가 일시적 요인이라는 점에서 낙관적 시각을 보이는 전문가도 많다.

연준 추가 금리 인상, 노동시장 약화 부를 가능성

다만, 인플레이션이 장기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미 연준이 추가적으로 급격한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한 만큼 조만간 침체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비관론이 여전히 우세하다.

무엇보다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난 기업들이 채용을 줄이면 아직은 괜찮은 노동시장이 약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부동산 등 금리에 민감한 업종이 출렁거리면서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파고를 몰고 올 수도 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지냈던 래리 서머스 장관은 지난 24일 미 CNN 방송에 출연해 미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에 대해 “매우 희박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도 전날 회견에서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는 길이 “좁아지고 있다”고 인정한 바 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