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농식품부, 2027년까지 채소가격안정제 물량 16%→35%
작물 공급·가격 더욱 안정될 듯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2027년까지 배추와 무, 마늘 등 7개 채소에 대한 가격안정제 물량을 평년 생산량의 16%에서 30%까지 확대키로 했다. 이로써 해당 작물 공급과 가격이 더욱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7년까지 채소가격안정제 가입 물량을 평년 생산량의 35% 수준으로 늘린다고 21일 밝혔다.

채소가격안정제는 주요 노지 밭작물의 공급과 가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작물 가격이 내려가면 농가에 하락분을 일부 보조하거나 과잉 물량을 격리하고, 가격이 오르면 가입 물량을 조기에 출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사업 대상 품목은 주요 밭작물 중 수급불안 가능성이 큰 배추, 무, 마늘, 양파, 대파, 고추, 감자 등 7개다. 작년 기준 채소가격안정제 가입 물량은 평년 생산량의 16% 수준이다. 앞으로 이 비율을 높이면 작물 공급과 가격이 더욱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치로 올해 가입 물량은 총 1만4000t(톤)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이에 따라 이들 품목 가격이 평균 약 2%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채소가격안정제가 더욱 확대되도록 정부 지원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