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스타각 맛집, 백화점 ‘매출 맛집’ 되다
F&B 매출 견인 디저트 맛집
전년동기비 매출 평균 70% 껑충
오래된 노포맛집 유치경쟁 탈피
차별화된 디저트맛집 유치 주력
MZ의 ‘페르소나 충족 공간’ 변모
브랜드 교체주기도 2~3개월 단축
SNS 인기 디저트 카페를 지속해서 선보이는 롯데백화점. [롯데백화점 제공]

백화점이 2030 고객들이 선호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디저트 맛집을 적극 유치하자 백화점 식당가 매출이 지난해 보다 70% 가량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마와 무더위가 반복되면서 백화점을 찾는 방문객이 늘어난 점도 식당가 매출 신장에 도움이 됐다.

20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15일간 주요 백화점들의 F&B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평균 70% 뛴 것으로 집계됐다.

신세계백화점이 이 기간 F&B 매출이 77.2% 늘어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했고, 이어 현대백화점 67%, 롯데백화점 65% 등으로 신장률이 높았다.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같은 기간 26~31%에 이르는 매출 성장률을 나타냈다는 게 백화점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최근 2~3년 전만 해도 백화점은 한 곳에서 수십 년씩 장사하며 꾸준히 사랑받아온 오래된 ‘노포(老鋪) 맛집’을 경쟁적으로 들여오는데 공을 들였다. 그런데 올해는 다르다. 브랜드 정체성이 분명하고, 음식의 비주얼(디자인)이 예쁘고, 인테리어가 세련된 ‘SNS 인기’ 음식점과 카페를 유치하는데 더욱 집중하고 있다. 굳이 더운 여름철 땀 흘리지 않고도 백화점에서 ‘인증샷’을 찍으면서 SNS 맛집을 체험할 수 있어 인기가 뜨겁다는 게 백화점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맛있는 건 디폴트(기본)이고요, 자기만의 개성이 있고 취향도 드러나는 브랜드여야 해요. 인스타그램에 자랑할 수 있는 특별한 디저트여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게 곧 ‘나’를 말하니까요.” 실제로 최근 백화점 F&B 바이어들은 최근 백화점 식품관 트렌드를 이같이 분석한다. 정체성의 욕구가 유난히 강한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이들의 페르소나를 충족시켜주는 브랜드 입점을 우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20·30대를 붙잡기 위해 백화점의 식품 영역의 브랜드 교체 주기도 2~3개월 단위로 더 짧아졌다. 이와 함께 새로운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팝업스토어 오픈 횟수는 늘었다. 더현대서울의 경우, 이달 1일부터 15일간 F&B 팝업스토어가 무려 20여차례 열렸다.

SNS 인기 커피숍과 베이커리를 중심으로 F&B 강화에 공을 들이는 롯데백화점은 경쟁적으로 팝업스토어를 열고 있다. 5월 도넛브랜드 ‘캐치볼 클럽’을 시작으로 ‘덕덕덕 베이커리’, ‘마가렛 연남’, ‘텅 플래닛’ 등 유명 브랜드와 손잡고 F&B 팝업스토어를 진행했다. 7월 중 계획된 F&B 팝업스토어만 해도 7여곳에 이른다. 이달 초부터 ‘한남동 한입’ 에그타르트로 SNS에서 유명한 ‘도호프로젝트’, 신촌 크로핏 맛집으로 SNS상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오르랔베이커리’ 등 팝업스토어가 줄줄이 열리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직접 운영하는 경양식 레스토랑 ‘까사빠보’에서 5만원대에 달하는 프리미엄 애플망고 빙수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백화점 F&B 리뉴얼, 팝업스토어 론칭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아니지만, 특히 최근에는 20·30대가 페르소나 동일성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브랜드 입점을 목표로 삼고 있다”라며 “백화점간 경쟁이 붙으면서 국내 식문화가 점점더 다양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아 기자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