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차환 리스크 확대…펀더멘털 관점 투자 권고"
NH투자증권 보고서
"AA등급 채권 만기 도래액 2024년까지 증가"
"부채·배임 문제로 정부와 모기업 지원 어려워"

[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 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되면서 차환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그룹의 지원 여력도 크지 않아 개별 기업 펀더멘털 관점의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는 지적이다.

NH투자증권은 20일 보고서를 통해 "현재 기업들의 부채는 2018년 말 대비 평균적으로 1.5~2배 증가했다"며 "AA등급 기업들의 채권 만기 도래액이 2024년까지 가파르게 증가해 향후 차환리스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광열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2분기 AA등급 회사채 수익률(YTM) 평균은 3.8%로 전년 동기 대비 220bp 상승했다. 보유한 현금으로 이전에 발행한 회사채를 상환하지 않는다면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은 2배 이상 증가한다"고 말했다.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이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펼치면서 크레딧 채권 금리도 확대됐다. 그만큼 기업들의 차환·이자 비용 부담이 커진 셈이다.

한 연구원은 "연도별 회사채 순 발행액 규모는 2019년 이후 현재까지 60조 이상"이라며 "기업들의 시중 은행 대출도 2020년 급격히 늘어 국내 기업의 총 금융 부채 규모는 2018년 대비 1.5배 수준, 개별 기업으로 볼 때 많게는 2~3배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2020, 2021년에 채권 발행이 많아 2023, 2024년에 만기가 돌아온다"며 "올해 상반기는 기업들의 현금 유동성이 양호하고 만기 도래 부담도 크지 않아 신용 이벤트가 없었지만 내년부터는 다른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정부와 모그룹의 지원 역량이 떨어진 점도 위험 요소다. 한 연구원은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등 전방위로 높아진 부채 수준을 감안할 때 특정 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여력은 과거 대비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모그룹의 지원 가능성에 대해서도 "국내 대기업들의 지배구조 변화 특징은 물적 분할이다"며 "자회사 분할 후 기업공개할 경우 운영비 중복으로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 모회사가 지원할 여력이 있다고 해도 자회사 부당 지원 또는 배임 이슈가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한 연구원은 "당분간 크레딧 채권 투자 시 철저하게 펀더멘털 관점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특히 민간 기업의 경우 정부나 그룹의 지원 가능성을 배제하고 투자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