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 상품 3개는 너무 작다”
금융투자업계 “차별화에 한계”
이직 잦은 중기 정착도 어려워

[헤럴드경제=권제인 기자]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지난 12일 도입됐지만 안착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포트폴리오 편입 상품 다양화하고 업권별로 허용하는 상품도 차별화해야 한다는 게 금융투자업계의 주장이다.

19일 ‘퇴직연금 시장의 대변화와 업계의 대응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린 한국금융공학회 심포지엄에서 김현욱 미래에셋증권 이사는 “현재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는 적격 상품을 3개 모아 놓은 것에 지나지 않다”며 “편입 가능 개수를 확대하고 상품 범위도 확대해 달라”고 말했다.

현행 규정에서 퇴직연금사업자는 최대 10개까지 포트폴리오 상품을 출시해 고용노동부에 승인을 받을 수 있다. 각 포트폴리오 구성은 최대 3개 상품까지 가능하다.

오무영 금융투자협회 상무는 “상품이 3개 이내로 제한돼 다양한 자산 배분과 사업자 운영 역량 차별화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미국, 호주는 포트폴리오에 채권, 사모펀드, 비상장주식, 부동산 등 포트폴리오에 다양한 자산을 편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종 간 허용 상품을 차별화해달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상혁 KB증권 상무는 “한 사람이 증권사, 은행사, 보험사에 갈 때 기대하는 게 다르다”면서 “허용 상품이 다르지 않으면 업권 특성을 살리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종각 금감원 연금감독실장은 “‘편입 가능 상품이 현재 3개인데 그 이상 확대하고 범위도 확대해야 한다는 등의 좋은 말씀을 해주셨다”며 “제도 시행 초기인 점을 고려해 차근차근 논의해야 할 사항”이라고 답했다.

디폴트옵션이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 간 양극화를 불러올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됐다.

신승호 근로복지공단 전문위원은 “중소기업은 이직률이 높아 3~4년을 채 근무하지 않고 퇴직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IRP(개인형퇴직연금)가 활성화되면 좋은데 대체로 연금화하지 않고 90%가 일시 지급받는 게 현실이어서 대기업 위주로 디폴트 옵션이 자리 잡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