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젤렌스키, 정보·검찰 수장 돌연 해임...“반역 혐의 무더기 적발”
SBU·검찰 직원 60여명 연루
반역·부역죄 651건 소송 진행중
러 헤르손 점령 등 대처 부적절
전 SBU 크림반도 수장도 구금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이반 바카노우 국가보안국(SBU) 국장(오른쪽)과 이리나 베네딕토바 검찰총장(왼쪽)을 해임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두 기관 내에서 러시아와 협력한 혐의가 무더기로 드러났기 때문에 두 공직자를 해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전선에서 공세를 한창 끌어올리는 긴박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정보기관 국가보안국(SBU) 수장과 검찰총장이 해임됐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날 이반 바카노우 SBU 국장과 이리나 베네딕토바 검찰총장을 해임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공식 사이트에 게재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별도 텔레그램에서 SBU와 검찰조직 내부에서 러시아와 협력한 혐의가 무더기로 드러나 정부 고위 공직자를 해임했다고 밝혔다.

그는 두 기관 직원들의 반역·부역죄 혐의 651건과 관련해 형사소송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SBU와 검찰 관계자 60여명이 현재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에서 우크라이나에 맞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밤 대국민 연설을 통해 “이같은 국가안보 토대에 반하는 일련의 범죄는 해당 기관을 이끄는 지도자에 심각한 의문을 불러일으키며, 이런 각각의 의문엔 적절한 대응이 따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카노우 국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과거 사업 파트너이자 선거 운동 때도 함께한 오랜 친구 사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19년 취임 당시 SBU를 대대적으로 개혁한다는 명분으로 바카노우 국장을 수장으로 앉혔지만 그의 이력은 정보기관을 이끌기엔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일었다.

지난달 미국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우크라이나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바카노우 국장의 운영에 정부가 불만을 품고 있다며, 그가 전시 상황에서 정보기관을 이끌기에 더 적합한 후임자로 대체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더 나아가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전쟁 발발 직후 SBU의 고위 관리들이 내린 결정에 헤르손과 같은 도시가 점령 당한 것이라며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들은 SBU가 드니프로 강을 가로지르는 안토노프스키 다리 폭파에 실패해 러시아군이 헤르손을 쉽게 점령할 수 있었다고 비판했다.

2020년 임명된 베네딕토바 검찰총장은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전쟁범죄 관련 업무를 한창 이끌고 있었다. 이날 베네딕토바 총장이 해임되면서 올렉시 시모넨코가 새로 임명됐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올레그 쿨리니치 전 SBU 크림반도 수장이 전날 반역 혐의로 구금됐다고도 전했다.

그는 쿨리니치 전 수장을 러시아 침공 초기에 해임한 결정이 옳았다며 반역 증거가 충분히 모아진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쿨리니치 전 수장은 이날 해임된 바카노우 국장의 고문이었다고 타스통신은 전했다. 우크라이나 SBU에는 3만명 이상의 직원이 종사 중이며, 영국 보안정보국(MI5) 규모의 7배 이상이다.

유혜정 기자

yooh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