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우스푸어 위기 고조에…생애 첫 집 매수자 10년만에 최소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올해 들어 생애 첫 집을 마련하는 매수자가 '하우스 푸어'(House Poor·내 집 빈곤층) 위기감이 고조됐던 2012년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우스푸어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나 대출에 따른 과다한 원리금 상환 부담으로 생활고를 겪는 가구를 말한다.

18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생애 처음으로 집합건물을 구매한 매수인은 16만8천713명으로 집계됐다.

집합건물이란 한 동의 건물에서 구조상 구분된 부분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구분 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아파트, 연립·다세대주택, 오피스텔 등을 말한다.

상반기 기준으로 올해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인은 2012년(16만1천744명) 이후 10년 만에 최소이자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0년 이래 역대 두 번째로 적은 것이다.

역대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인이 가장 적었던 2012년은 하우스푸어 위기가 한창 고조됐던 시기다.

당시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5∼6%대로 치솟으면서 대출을 받아 내 집 마련을 한 급여 생활자가 이자를 감당하기 부담스러운 수준에까지 달했었다. 이에 금융당국은 이듬해인 2013년 하우스푸어 구제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2012년의 하우스푸어 사태가 10년 만에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생애 최초 집합건물 매수인은 상반기 기준으로 집값이 급등했던 지난해(28만4천815명)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나 올해(16만8천713명)는 작년보다 무려 40% 넘게 줄었다.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시세표가 붙어 있다. [연합]

월별로도 지난 1월 3만521명이었던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인은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난달 2만6천356명에 그쳐 올해 들어 월별 최소치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가장 많았던 3월(5만4천233명)과 비교하면 지난달(2만6천356명)은 절반 넘게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30대 이하 젊은 층의 생애 첫 집합건물 매수는 3만868명에서 1만4천551명으로 약 53% 줄었다.

이렇게 1년 새 완전히 딴판이 펼쳐진 것은 대출과 금리, 집값 상승 기대 심리 등 모든 측면에서 상황이 180도 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부터 가계부채를 억제한다는 명목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통한 대출 규제가 시작된 데 이어 올해부터는 DSR 규제가 더욱 강화됐다.

또 기준금리는 지난해 8·11월과 올해 1·4·5월에 0.25%p(포인트)씩 다섯 차례 오른 데 이어 지난 13일에는 0.50%p 올라 총 1.75%p 높아졌다. 기준금리가 세 차례 연속(4·5·7월) 인상된 것은 물론 한 번에 0.50%p 오른 것도 전례가 없던 일이다.

이처럼 올해 들어 고강도 대출 규제와 급격한 금리 인상이 단행되면서 집값이 약세로 돌아서고 매수 심리도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저금리가 유지되고 집값 고공행진에 따른 상승 기대감이 지속됐던 작년 상반기와는 완전히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특히 이대로 가다가는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빚투'(빚내서 투자)로 대출을 상한선까지 받아 내 집 마련을 한 2030 세대의 고통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현재 평균 주담대 금리가 지난 5월 말 기준 연 3.90%, 신규 주담대 금리가 연 4.7~4.8%인데 한국은행의 '빅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0%p 인상)으로 올해 하반기에 금리가 더 오르면 연 5%를 곧 넘을 것"이라며 "주택담보대출을 갚는데 소득을 지출하면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심각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dod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