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사의 비금융 자회사 투자 제한 등 칸막이 규제 개선하겠다”[헤럴드 금융포럼 2022]
'헤럴드금융포럼 2022' 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더플라자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금융, 플랫폼이 되다'를 주제로 열린 가운데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금융시장 전반의 디지털 혁신이 가속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 그간 상대적으로 뒤처졌던 기존 금융회사의 디지털 혁신도 돕겠다. 금융사의 업무범위, 자회사 투자 제한 등 금융-비금융 간 칸막이 규제를 개선해 금융사들이 경쟁력있는 금융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뒷받침 하겠다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의 축사와 함께 ‘헤럴드 금융포럼 2022’이 서울 중구 소공로 더 플라자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올해 주제는 ‘금융, 플랫폼이 되다’다.

이 자리에선 초대 금융위원장을 지낸 전광우 세계경제연구원 이사장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전통 금융사와 기술 기업이 함께 어우러지며 달라진 금융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논의가 이어졌다. 포럼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해 금융당국과 주요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가장 먼저 축사에 나선 김 부위원장은 “정부는 디지털 전환과 플랫폼화가 금융산업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면서 “은행법·보험업법·여전법 등 금융업법 전면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축사에서 “금융사의 비금융산업 진출에 대한 벽을 허물어주고, 동시에 비금융회사의 금융회사 지분한도 규정과 의결권행사 지분율을 우선 완화하는 작업을 통해 규제 혁파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금산분리의 원칙을 녹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금융이 플랫폼이냐, 플랫폼이 금융이냐 영역이 무너지고 있다”면서 “빅테크와 핀테크 그리고 기존 금융사와 삼각 운명 체제를 원칙으로 금산분리를 뒤돌아보고 서로 진출을 자유로이 해 소비자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전 이사장은 ‘금융, 혁신의 중심에 서다’란 제목으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그는 “글로벌 복합위기가 지구촌을 강타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박을 줄이면서 경제활력을 키워야한다”면서 “현 상황에서 민간경제 역동성 회복을 위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성공적 산업 구조조정을 촉진할 금융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디지털 플랫폼 기반 금융혁신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나, 금융 선진화의 기본 요건은 ‘신뢰’(Trust)”라며 “빅테크 플랫폼 기업과 전통 금융산업 간 공정 경쟁 이슈와 시너지 창출 시스템 구축은 해결 과제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전 이사장은 “디지털 플랫폼 혁신 드라이브가 성공하려면 경영 투명성과 책임성이 전제돼야 하며, 적정 수준의 규제가 필요하다”며 “또 사후 징벌보다는 사전적 예방을 통해 시장의 질서를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 이사장은 “신정부 경제운용 비전과 정책 로드맵에 금융서비스 산업 혁신이 핵심 개혁 과제로 선정된 만큼, 금융 선진화와 국제경쟁력의 초석을 쌓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조연설 후 열린 세션1에서는 이형주 금융위 금융산업국장이 ‘플랫폼 경제와 금융산업 디지털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 국장은 “금융회사도 금융안전장치가 마련된다는 것을 전제로 디지털혁신을 위해 인공지능(AI)이나 플랫폼 등 자회사 보유를 할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화하고 ,마이데이터를 통해 금융사의 비금융정보 활용 기반을 확대하는 등 디지털 혁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전업주의 규제를 손봐서 은행과 금융투자업, 보험 등 업종별 가로막힌 벽 때문에 제공하지 못했던 디지털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반을 구축할 것을 약속했다.

세션2에서는 정윤호 해빗팩토리 공동대표가 ‘기술과 데이터가 바꾸는 보험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서, 마이데이터 시대 고객을 끌어오는 상품 및 서비스 혁신을 논의했다.

이날 포럼은 업계 200여명이 모여 한 자리에서 금융의 플랫폼 혁신에 대한 깊이있는 지식과 다양한 의견을 논의했다. 또 행사장인 그랜드볼룸 내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며 진행됐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