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 가스 공급 감축에 獨, 석탄 사용 늘린다…탄소 감축 역행
獨 경제부, 새 에너지 대책 발표…내달 8일 연방 상원서 승인 예정
하벡 경제장관 “가스價 인상 푸틴과 결전 중…유럽 분열 용납 안 할 것”
독일 최대 노천 탄광 지대인 서부 뤼체라트 가르츠바일러에 위치한 석탄화력발전소의 모습. [AFP]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독일이 천연가스 공급 감축 등 ‘에너지 무기화’를 본격화 한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석탄 사용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그동안 글로벌 탄소 배출량 감축 노력의 선도국이던 독일이 직면한 에너지 대란 위기에 굴복, 석탄 사용 감축 약속을 스스로 깨버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현지시간) AFP·dpa 통신에 따르면 독일 경제부는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멈춰세웠던 석탄화력발전소를 재가동하는 방안 등이 담긴 새로운 에너지 대책을 이날 발표했다.

그동안 ‘최후의 수단’으로 보류됐던 석탄화력발전소 운영을 허가함으로써 전력 소비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겨울을 대비해 천연가스 저장률을 높인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가스를 많이 사용하는 제조업체에 대한 경매 제도와 에너지 절약을 약속하는 기업에 대해 정부가 보상을 제공하는 안도 포함됐다.

독일 정부는 지금 57%인 천연가스 저장률을 오는 10월 1일까지 80%, 11월 1일까지 90%로 올리고, 이를 위해 독일 정부는 국책은행인 독일재건은행(KFW)을 통해 150억유로(약 20조3535억원)의 추가 자금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독일의 긴급 조치는 지난 14일 러시아가 서유럽으로 향하는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가동능력을 40% 감축함에 따라 서방의 가스 공급을 제한, 가스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나온 궁여지책이다.

로베르트 하벡 부총리 겸 경제장관은 “석탄 사용에 대한 법률은 다음 달 8일 독일 연방 상원에서 승인될 예정”이라며 “이 조치는 러시아산(産) 천연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안이 마련됐을 것으로 기대되는 2024년 3월 31일에 만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벡 장관은 러시아의 에너지 무기화에 대해 “우리를 흔들고 (가스) 가격을 올려 분열시키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략과 결전을 벌이는 중”이라며 “우리는 이를 용납하지 않으며, 우리 스스로를 단호히 지켜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가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당(SPD)을 비롯해, 녹색당, 자유민주당(FDP) 등 연립 여당이 오는 2030년까지 석탄 사용량을 줄이겠다고 공언한 내용과는 상반된 행보란 비판이 곧장 나왔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로베르트 하벡 독일 부총리 겸 경제장관이 베를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석탄 사용이 대체 에너지월을 확보하려는 독일에 시간을 벌어주겠지만, 탄소 배출 감축 노력은 더 지연시킬 것”이라고 했고, 독일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SDZ)은 “2030년을 (석탄 중단) 목표로 잡았던 숄츠 정부가 석탄 사용 중단을 늦어도 2038년까지 마친다는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녹색당 공동 대표인 하벡 장관도 이를 의식한 듯 “(석탄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이) 씁쓸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이런 상황에서는 가스 소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면서 “가스 저장소는 겨울까지 꽉 차야 하며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