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정부 경제정책]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정-정원 확대…원전 10기 수출
신산업 육성·원전 경쟁력 강화
반도체 등은 국가첨단전략산업 기본계획 수립
인공지능·바이오·로봇 등 유망산업 인프라 구축 지원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이 지난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주요 내용' 상세브리핑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왼쪽부터 양성필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관,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 방기선 1차관, 김수상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 고광효 기획재정부 조세총괄정책관, 윤인대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윤석열 정부가 경제 성장을 견인할 신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고 반도체 인력 충원 및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첨단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지원한다. 또 인공지능(AI)과 바이오, 로봇 등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 산업의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특히 일감 조기 창출과 함께 차세대 원자로 개발,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 등으로 원전 경쟁력 강화에도 나선다.

정부는 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우선, 글로벌 성장 전망과 기술 수준 등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신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국가적 도전 과제로 설정해 세부 산업·기술 지원 수단 및 방안 등을 설계하고 오는 12월 경제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반도체 등 경제안보 전략산업의 경우 기술·생산 역량 확충과 기업 성장 지원 등을 위한 '국가첨단전략산업 기본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오는 3분기 중 첨단전략기술·산업을 지정하고 종합 육성 계획을 수립해 올해 중 신설될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초격차 확보를 위한 투자 인센티브와 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공고화를 위한 지원 방안도 추진한다. 반도체 단지 조성 시 전력·용수·도로 등의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 인허가 처리는 신속히 진행할 방침이다. 특히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반도체 등 특성화 대학을 지정하고 정원 확대 방안도 마련한다.

정부는 AI, 바이오, 모빌리티·물류, 항공·우주, 로봇 등 성장 가능성이 큰 유망산업의 인프라 구축도 지원한다. 차세대 AI·데이터로 이어지는 디지털 초일류 기반 조성을 위해 이번 달부터 초거대 AI 모델 활용을 지원하고 오는 2025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 작업을 진행한다. 오는 12월까지 '범정부 데이터 산업 진흥 제1차 기본계획'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오는 2025년까지 빅데이터·AI 기반의 바이오 제조공정 혁신센터를 구축하고 2027년까지는 자율차의 핵심 첨단인프라(정밀도로지도)를 전국 주요 도로에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오는 2026년까지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시험공간)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우주, 로봇, 나노 등 미래유망 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도 올해 말이나 내년까지 마련된다.

이밖에 정책금융 및 해외 진출 지원 등을 통해 K-콘텐츠 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데이터·자동화 기술을 도입한 스마트농업 확산에도 나선다.

새 정부는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에도 속도를 내고 원전 경쟁력 강화 작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주요 예비품 선발주 등 일감 조기 창출을 통한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 회복에 나선다.

또 차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전(SMR)과 4세대 원자로, 원전 연계 수소생산 등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미래 유망 기술개발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오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적극적인 수주 활동도 전개하기로 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