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물연대 파업 피해규모 약 1.6조…철강>석유화학>자동차 등 순
장영진 산업 1차관 “막대한 피해 예상…원만한 합의 절실”
화물연대 총파업 일주일째인 13일 오전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에서 노조원들이 운행 중인 화물차를 향해 선전전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민주노총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발생한 국내 산업계 피해 규모가 약 1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 보면 철강, 석유화학, 자동차 순으로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12일 엿새간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주요 업종에서 총 1조5868억원 상당의 생산·출하·수출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13일 밝혔다.

부문별로 보면 철강업계는 육상 운송을 통한 제품 반출이 제한되면서 총 45만t(톤)의 출하 차질이 발생했다. 철강제품의 평균 단가가 t당 155만원임을 고려하면 6975억원 규모의 피해를 본 셈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재고 적재공간 부족으로 이날부터 선재·냉연공장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석유화학 업계는 전남 여수와 충남 서산 대산공단 등 석유화학단지를 중심으로 제품 반출이 제한되면서 5000억원 상당의 제품 출하 차질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일부 석유화학 업체는 이번주부터 생산량 축소에 나설 방침이다. 자동차업계는 부품 반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5400대의 생산차질이 발생해 총 2571억원(승용차 평균 대당 판매가격 4759만원 기준) 상당의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시멘트업계는 평시보다 출하가 90% 이상 급감하면서 총 81만t의 시멘트가 건설 현장에 공급되지 못해 752억원(시멘트제품 평균 단가 t당 9만2000원 기준) 규모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됐다. 시멘트 업체들은 이번주 중으로 대부분의 공장 가동률을 50% 수준으로 줄일 예정이다. 타이어업계는 약 64만개, 570억원 상당의 타이어제품 출하에 차질을 빚었다.

산업부는 총파업으로 인한 물류 차질이 주요 업종을 포함한 산업계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실제 피해 규모는 1조6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지난 6일간 극심한 제품 출하 차질로 인해 적재공간의 한계에 다다른 업체가 늘고 있는 만큼 이번주부터는 생산 차질 피해가 본격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더 불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서 화물연대 관련 물류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국민 경제와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며 "조속하고 원만한 합의와 물류 정상화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