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물연대 파업 닷새째 33% 참여…이틀째 실무협상
주요 항만, 물류거점 물동량 위축
국토부, 총파업 철회 촉구
'안전운임제' 제도 개선 지원 약속
화물연대 총파업 닷새째인 11일 부산항 신항 도로에서 화물연대 부산지부 조합원들이 안전운임제 법제화 등을 촉구하며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총파업에 나선 지 닷새째인 11일 전체 조합원의 3분의 1이 참여한 가운데 곳곳에서 물류 운송 차질과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전날에 이어 화물연대와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있어 사태 해결 가능성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화물연대 조합원 4200여명은 전날부터 이날 새벽까지 지역별로 철야 대기하며 파업을 이어갔다. 국토부는 화물연대 조합원 2만2000명 중 33% 수준인 7350여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

항만별 컨테이너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71.4%로, 평상시(65.8%)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부산항과 울산항 등 일부 항만에서 국지적으로 운송 방해행위가 나오면서 평시보다 반출입량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주요 물류거점의 물동량도 전날에 이어 크게 줄었다. 전날 의왕 내륙컨테이너 기지(ICD)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지난달의 10분의 1 수준으로, 인천항은 5분의 1 수준으로 위축됐다.

부산항의 경우도 전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7268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로, 지난달의 33.6% 수준으로 떨어졌다.

파업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25분께 부산 강서구 신항삼거리 앞에서는 화물연대 노조원 270여명이 도로를 점거하고 시위를 벌였다. 이 과정에서 조합원 6명이 화물차량 운송을 방해한 혐의로 경찰에 현행범으로 체포됐다.

정부는 전날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이 화물연대 위원장 등을 만나 화물연대 측 입장을 듣고 총파업 철회를 촉구했으나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면담은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국토부는 이날도 오전 11시에 정부세종청사에서 화물연대와 실무진 면담을 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 나선 상태다. 이날 면담에서는 화물연대가 요구하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유가 대책, 파업 철회 등 안건을 놓고 대화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안전운임제가 입법을 통해 도입된 만큼 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안 등의 논의를 거쳐 입법으로 해결돼야 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다만, 주무 부처로서 원활한 입법을 위해 화물연대와 운송사업자, 화주 등의 입장을 조율하고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도 “이번 집단운송거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지속적으로 소통해왔으며 앞으로도 대화를 계속하고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라며 “화물연대가 지금이라도 집단운송거부를 철회하고 복귀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