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창용 “팬데믹 후 양극화, 인플레이션 심화 가능성”
2022년 BOK 국제컨퍼런스
고인플레 이후 장기 저성장 대비해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2022년 BOK 국제컨퍼런스'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박자연 기자]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펜데믹 충격과 그로부터의 회복 과정에서 나타난 양극화 현상이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더 심화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진정된 뒤 선진국을 위시해 한국, 태국, 중국 등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일부 신흥국에서 저물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변화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열린 BOK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진정됐을 때 장기 저성장(secular stagnation) 흐름이 다시 나타날 것인지 아직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다”면서도 저물가·저성장 가능성을 재기했다.

이에 “만약 그렇게(저물가·저성장) 된다면, 폴 크루그먼 교수가 선진국 중앙은행에 조언한 것처럼, 한국이나 여타 신흥국도 무책임할 정도로 확실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약속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자산매입 등)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활용하면 통화가치 절하 기대로 자본유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신흥국의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더욱 신중하고 보수적으로 행동해야만 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향후 개별 신흥국이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코로나19 위기 극복 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확장적 정책을 홀로 다시 이어간다면 환율과 자본흐름,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함의는 사뭇 다를 것”이라며 “저물가·저성장 국면에 대비한 신흥국만의 효과적인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찾는 것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아울러 중앙은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처럼 물가안정이라는 기본 역할에만 집중하면 되는지, 인플레이션이 진정됐을 때 지난 10여 년간 사용한 통화정책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지 등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이 총재는 “디지털 혁신이나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생각해보자면 앞으로 이를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며 “현재 각국 중앙은행이 CBDC 도입을 추진 중이거나 연구를 본격화하고, 녹색성장을 위해서도 정책수단의 개발과 이행을 구체화하는 것도 이러한 과정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또 “중앙은행이 지난 10여년 간 비전통적 통화정책 활용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자산가격 상승에 대한 부정적 인식 속에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다”며 “결자해지 입장에서 중앙은행에 대한 해당 요구가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이런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려 한다고 하더라도, 소득 양극화와 부문 간 비대칭적 경제 충격의 문제를 과연 통화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전했다.

nature6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