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루나 사태' 테라폼랩스 한국법인 해산, 작년 말 이미 결정
권도형 테라폼랩스 최고경영자(CEO)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이달 초 폭락 사태 직전 한국 법인을 해산해 '먹튀' 논란이 일었던 가상자산 루나와 테라USD(UST)의 발행사 테라폼랩스가 실제론 지난해 말 이미 해산 상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법인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테라폼랩스코리아는 지난 4월 30일 주주총회를 통해 부산 본점과 서울 지점을 해산했다. 이달 초 UST와 루나가 폭락하기 직전에 한국 법인이 해산 사실이 알려지면서 '계획된 사기' 아니냐는 추측을 낳았다.

그러나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테라폼랩스의 한국 법인 테라폼랩스코리아의 해산은 내부적으로 지난해 결정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테라폼랩스코리아는 실질적으로 작년 말에 이미 해산한 상태였다"고 했다. 서류상 해산 절차가 4월로 미뤄졌을 뿐이라는 얘기다.

가상자산 업계에선 테라폼랩스코리아가 해산한 배경으로 세금 문제를 꼽는다. 권 CEO를 비롯한 회사 관계자들이 한국 정부에 과세의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해 법인을 아예 정리한 게 아니냐는 것이다.

국세청은 지난해 권도형 최고경영자(CEO) 등이 해외 조세회피처 법인 등을 통해 가상화폐 발행 관련 일부 수입과 증여에 대한 신고를 누락해 세금을 탈루한 혐의로 특별 세무조사를 진행했고, 500억원 안팎의 세금을 추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다른 업계 관계자는 "테라폼랩스코리아는 해산했지만 한국 지사 역할을 하는 법인은 한국에 사무실을 두고 운영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연합뉴스는 '폰지 사기'(다단계 금융사기) 의혹을 받는 테라 생태계 내 디파이 서비스 '앵커 프로토콜'과 관련해 테라폼랩스 고위 관계자였던 A씨와 접촉을 시도해 가까스로 연결이 닿았으나 A씨는 관련 의혹을 모두 부인했다.

A씨는 "20%(이자율)로 유인해 앞선 사람들의 투자금을 뒷사람을 통해 해결하는 그런 다단계 방식은 아니다. 결과론적으로 그렇게 보일 뿐"이라며 "20%도 영원히 지속하겠다는 내용도 아니었다"고 했다.

이어 "앵커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수많은 유튜브, 자료 등을 통해 공개돼 있다. 심지어 소스 코드도 오픈소스로 공개돼 있다. 모든 게 공개된 시스템이, 공개된 블록체인 위에서 약속대로 돌아갔는데 뭐가 폰지(사기)라는 것인가"라며 "검찰 조사를 통해 많은 사실이 확인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dod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