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제유가 고점 통과 중…하반기엔 무역적자 축소”
수출 견조세 속 무역적자…"이례적 현상"
경상수지와 외환 보유액은 안정적 유지
“원유 수급 상황 개선되면 무역수지 회복”
[연합]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올해 하반기에는 국제유가의 완만히 하향 안정화 되면서 무역적자 규모도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30일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 및 전망’ 보고서에서 “최근 무역수지 악화는 독일, 일본, 중국 등 제조업 수출국의 공통된 현상”이라며 “하반기부터는 유가 하락세와 함께 무역적자도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지상 연구위원은 “2000년 이후 발생한 총 다섯 번의 무역적자는 올해를 제외하고는 리먼 브러더스 사태와 같이 수출 감소가 무역적자로 이어졌다”면서 “올해처럼 수출이 견조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무역적자가 나타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무역협회 제공]

그러면서 “최근에는 무역적자에도 경상수지와 외환보유액이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며 “경상수지는 올해 1월 무역수지가 47억4000만달러의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도 19억달러의 흑자를 유지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서비스수지도 2017년부터 적자 폭이 크게 줄면서 경상수지 흑자에 도움이 되고 있다”며 “외환보유액 규모도 3월 말 기준 홍콩에 이어 세계 8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홍 연구위원은 “5월부터는 비철금속 가격이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글로벌 전망 기관들도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영향 등을 고려해 하반기부터 완만한 유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며 “하반기 원유 수급 상황이 개선되는 대로 무역수지는 빠르게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