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로템, 국내 3대 신용평가사 신용등급 일제히 상향…“A급 복귀”
투명경영 기반으로 한 경영혁신 성과…수익성ㆍ재무구조 개선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현대로템 수소전기트램, K2전차, 수소추출기 공장 ‘H2설비조립센터’. [현대로템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현대로템이 국내 3대 신용평가사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로부터 신용등급을 기존 BBB+(긍정적)에서 A-(안정적)으로 모두 상향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2020년 이후 약 2년만의 신용등급 상향이다.

한기평은 현대로템의 재무구조 개선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현대로템이 2020년 이후 매출 증가 추세 및 영업 흑자구조가 유지되고 있는 점에 지목했다. 실제 현대로템은 지난 2020년 1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9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어 한기평은 지난 2020년 유휴부지 매각을 비롯해 토지재평가 등을 통해 현금 확보 및 차입금을 감소시켰으며 차입금의존도, 부채비율 등 주요 지표들이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20년 비상경영체제를 선포하고 투명경영 활동을 통해 ‘클린 컴퍼니(Clean Company)’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투명수주심의위원회 도입으로 수주심의를 투명하게 진행하고, 리스크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등 사업 입찰의 전 과정에 대한 관리체계를 표준화하고 투명성을 확보했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수익성 중심으로 재편했다. 구체적으로 철도 신호, 운영, 유지보수 등 고부가가치 사업 비중을 확대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했다. 특히 수소전기트램, 수소충전인프라 등 수소 사업을 비롯해 다목적 무인차량으로 대표되는 무인체계 등 미래 유망 신사업을 추진해 성과를 보였다.

신용평가사들은 현대로템의 장기전망도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특히 3개 신용평가사 모두 현대로템이 풍부한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6조9000억원의 수주잔고와 누적 세전손실 1조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나 2020년 수주잔고 8조1000억원, 세전이익 150억원을 기록하며 반등에 나섰다. 작년에는 수주잔고 9조2000억원, 세전이익 353억원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올 1분기 기준 현대로템의 수주잔고는 약 10조원에 달한다.

나신평은 철도, 방산, 플랜트 등 현대로템의 다변화된 사업구조를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한신평 역시 철도부문 수주 프로젝트의 양산 본격화로 재무 안전성을 확보할 것으로 분석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우호적인 업황이 지속될 시 향후 추가적인 신용등급 향상까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투명경영 활동을 통해 경영의 안전성과 연속성을 확보하는 등 시장에서 계속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