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정부 1차 추경]방역보강에 6.1조원...진단검사·치료제 추가확보
진단검사·생활지원에 3.5조, 치료제 추가확보·병상운영에 2.6조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윤석열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편성해 코로나19 방역 보강에 6조1000억원 가량을 쓴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59조4000억원 규모의 추경 편성을 통해 확보한 재원으로 방역 소요 보강과 향후 의료체계 전환 뒷받침 예산으로 6조1000억원 가량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진단검사·격리입원치료·생활지원 등 방역소요 보강에 3조5000억원, 치료제 공급·병상운영·감염병 연구 등 일반의료체계 전환 지원에 2조6000억원을 쓴다.

먼저 3월 확진자 급증에 따른 진단검사비를 기존 6000억원에서 2조2000억원으로 늘렸다. 실제 작년 11월 진단검사 건수는 하루 평균 37만건에 그쳤지만 12월 54만건으로 늘었고, 올해 3월엔 65만건까지 늘어났다. 이와 함께 확진자 격리기간 중 재택·입원치료비도 2000억원에서 9000억원으로 늘린다. 생활지원과 유급휴가비도 1조7000억원에서 2조9000억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 1월 7000명에 불과했던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3월 들어 32만1000명까지 늘어났기 때문이다.

아울러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 등에 대한 처방 대상을 40세에서 12세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하면서 관련 예산도 늘었다. 먹는 치료제 100만명분을 종전 100만개에서 200만개로 추가 확보하고, 주사용 치료제를 16만개에서 21만개로 늘린 만큼 관련 예산도 1조3000억원에서 2조1000억원으로 늘렸다. 또, 백신접종 효과가 낮은 면역저하자 보호를 위한 예방 목적의 항체치료제도 396억원을 들여 2만명분을 신규 도입키로 했다.

이와 함께 병상운영 비용도 기존 2조1000억원에서 3조8000억원으로 늘린다. 확진자 급증에 따른 소요를 보강하고,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신속한 의료 대응체계를 운영하기 위함이다. 월평균 병상 가동률은 1월 34.8%에서 2월 44.0%, 3월 50.4%로 점차적으로 늘어난 바 있다. 이밖에 정부는 과학적 근거 기반 방역체계 전환을 위해 지역사회 일반주민 대상으로 항체양성률 조사를 위해 신규로 38억원을 배정했고,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를 위한 예산 55억원도 신규로 편성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