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도걸 기재2차관 “모태펀드 통한 공공부문 벤처투자 지원 계속”
"벤처 스스로 성장하도록 민간투자 통한 자금조달 확대"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벤처 생태계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민간 투자를 통한 자구적 자금조달 비중을 확대한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은 22일 서울 서초구 한국벤처투자를 방문해 '벤처투자 활성화'를 주제로 정책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벤처투자 정책 방향을 밝혔다.

정부는 투자자의 여건, 투자대상의 상황 등에 맞춰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 조건부 융자, 조건부 지분 전환계약 등 선진 투자기법을 도입하기 위한 벤처투자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기업 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하는 벤처투자 인공지능 온라인 매칭 플랫폼을 연내 구축해 투자자와 기업 간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우수한 기업이 신속히 투자받을 수 있도록 비수도권 기업에 대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엔젤투자허브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모태펀드 회수 재원의 선순환을 통한 민간투자 유도, 여타 창업·벤처 투자자금과의 연계 강화, 투자 사각지대 해소 등 3대 방향에 중점을 두고 모태펀드를 통한 공공부문의 벤처투자 지원도 이어간다.

그간 정부는 벤처·창업 활성화가 국가 경제의 양적 팽창과 질적 성장을 견인할 원동력이라고 보고 관련 투자를 늘려왔고, 지난해 말 기준 모태펀드 누적 출자예산 규모는 7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말 기준 누적인 3조4000억원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모태펀드 출자를 받아 운용 중인 자펀드의 경우 민간 투자를 포함한 총 조성 규모는 2017년 말 기준 16조4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27조7000억원으로 약 70% 늘었다.

간담회에 참석한 벤처업계는 정부에 모태펀드가 민간에서 소외되기 쉬운 벤처투자 사각지대를 보완할 수 있도록 투자재원을 확충하고 투자 방향을 잘 설정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벤처펀드 출자 및 벤처투자에 따른 수익을 보다 가시화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관련 세제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안 차관은 제안된 정책과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가능성 높은 과제부터 중소벤처기업부 등 유관 부처와 논의해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