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특활비 역대 정부 중 가장 적어, 감사제도도 첫 도입"
박수현 국민소통 수석 브피링
"과도한 의혹제기 매우 유감"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31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문재인 정부 특수활동비 사용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청와대가 31일 문재인 정부는 역대 정부중 청와대 특수활동비를 가장 적게 사용한 정부라는 점을 강조하며 김정숙 여사의 의상비 논란에 대해 "과도한 의혹 제기"라며 재차 유감을 표명했다. 신혜현 부대변인과 탁현민 의전비서관에 이어 수석급 참모까지 나서 김 여사의 의상비 논란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이후 문재인 정부는 연평균 96.5억 원의 특수활동비를 편성해 오고 있는데 이는 청와대 특수활동비가 도입된 1994년 이후 역대 정부 최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박 수석은 "문재인 정부는 출범과 함께 특수활동비의 투명성 책임성을 국민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한편 특수활동비를 목적에 맞게 꼭 필요한 곳에만 사용하기로 하고 2017년 편성된 125억원의 특활비도 88억원만 집행하고 나머지를 국고에 반납했"고 했다.

그는 또 "청와대의 특수활동비는 매년 감사원의 검사를 받고 있다. 감사원의 특수활동비 검사는 문재인 정부에서 최초로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는 청와대 특수활동비 집행과 관련하여 감사원으로부터 단 한 건의 지적도 받은 바가 없다"고 했다.

박 수석은 청와대가 1심법원의 판단에도 특활비 내역을 공개하지 않고 항소한 것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특수활동비의 세부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정부의 공통된 방침에 따른 것"이라며 "청와대 특수활동비 공개 소송에 앞서 대검찰청에 대해서도 2019년 특수활동비 공개 소송이 있었다. 이 소송으로 2022년 1월 1심에서 부분 패소했지만 항소를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청와대의 특수활동비가 공개될 경우 국가의 안보와 국익을 해하하고 국정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청와대는 부득이한 상급심의 판단을 구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청와대는 그동안 특수활동비 규모를 축소하고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해 왔지만 앞으로도 제도 개선이 더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박수석은 "청와대의 특수활동비뿐만 아니라 김정숙 여사의 의상과 엑세서리 거론되는 무분별한 의혹 제기 다시 한 번 유감을 표한다"고 강조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