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크라發 에너지 위기 先대응...英 “원전비중 최소 25% 확대”
존슨 총리 관료행정 적극 지원 밝혀
32조원대 초기 투자비용 마련 변수
지난달 24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런던 총리 관저에서 나와 업무 관련 서류를 들고 걸어가고 있다. [로이터]

영국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으로 인해 발생한 에너지가(價) 급등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 비중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방안 마련에 나섰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날 런던 총리 공관에서 원전 업계와 만나 영국 전체 전력 수요 중 원자력 비중이 최소 25%로 올라가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원전의 비중은 약 15%다. 그러나 현재 원전들이 노후해서 앞으로 2030년까지 상당수 폐기될 예정이다.

존슨 총리는 새로운 원전 건설 비용을 조달하고 건설하는 과정에서 관료 행정을 빨리 건너뛸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 2명을 인용해서 이날 회동 후 정부가 25%를 구체적인 목표치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는 “존슨 총리가 원전을 충분한 규모로, 충분히 빨리 건설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 매우 답답해하고 있으며, 심지어 좌절감까지 느끼고 있다”고 했다.

해당 사안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영국 유력 일간지와 인터뷰에서 존슨 총리가 원전 관련 프로젝트의 보다 빠른 진행을 위해 새로운 태스크포스(TF)를 설립하려고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해당 소식통은 “존슨 총리가 다음 주 원전 관련 새 전략을 발표하길 희망하고 있지만, 리시 수낙 재무장관이 비용 문제에 대해 검토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이유로 말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도 존슨 총리의 계획이 막대한 투자비용 때문에 목표 도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통신은 200억파운드(약 32조원)까지 늘어날 수 있는 대규모 초기 비용이 장애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존슨 총리가 원전 비중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경제 제재 동참 등으로 러시아산(産) 석유·가스 공급난이 현실화하면서 이를 대체할 에너지원을 찾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사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16일 존슨 총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를 주도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를 전격 방문해 원유 증산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존슨 총리는 최근엔 해상 석유·가스 사업자들을 만나 북해 에너지 투자 확대에 관해 논의했고, 조만간 풍력발전 업계와도 회동할 예정이다. 존슨 총리는 이달 중 에너지 안보 전략을 발표할 계획이며 그 핵심은 풍력, 태양광 등 친환경 에너지라고 말했다. 또 친환경 에너지가 부족한 점을 채울 수 있는 원자력 발전에 새로 크게 베팅할 때이며, 여기엔 대형 원전과 소형 모듈 원자로(SMR)가 모두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전환기에는 석유와 가스를 계속 사용할 것이라면서 북해의 탄화수소 자원 활용을 강조하고, 가장 잠재력이 있는 저탄소 자원으로 수소도 언급했다.

신동윤 기자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