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바이든 “푸틴, 생화학 무기 사용 검토 명확한 징후”
기업인 행사 비즈리스라운드테이블서 밝혀
“궁지 몰린 푸틴, 가짜 깃발작전 얘기 중”
“러 극초음속 미사일 사용, 방어 뚫을 유일한 것"
성명 통해선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감행 경고
조 바이든 (왼쪽)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P·로이터]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 측이 미국·우크라이나가 생화학 무기를 갖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을 거짓이라고 일축, “그(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가 그들 둘다 사용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는 명확한 징후”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러시아가 미국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할 수 있다는 진전된 첩보가 있다고 이날 경고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예상 밖으로 고전하면서 전황을 뒤집을 생화학 무기의 사용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바이든 대통령은 판단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서방의 각종 제재를 주도한 미국에 보복하려고 사이버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백악관과 전문가들은 경계하고 있다.

▶“푸틴, 새로운 가짜 깃발 작전 얘기 중”=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 200대 기업 최고경영자(CEO) 모임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 행사에서 “푸틴이 궁지에 몰렸다”면서 “미국에 있는 우리가 유럽에 화학무기 뿐만 아니라 생물학 무기를 갖고 있다고 주장하는 등 새로운 가짜 깃발 작전을 얘기하고 있다. 그냥 사실이 아니다”라고 했다. 가짜 깃발 작전은 상대가 먼저 공격한 것처럼 꾸며 선제 공격을 하려는 기만술을 말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생화학 무기를 갖고 있다는 러시아의 주장도 거짓이라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측이 러시아가 화학무기를 사용했다고 비난하기 위해 자국민에 대한 화학 공격을 계획했다고 비난한 바 있다. 증거를 제시하진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극초음속 미사일을 사용한 점을 확인하고, “극초음속 미사일도 다른 종류의 미사일과 마찬가지로 어떤 탄두를 탑재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며 “그게 우크라이나의 방어를 뚫을 수 있는 유일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군사적으로 좌절한 러, 소규모 사이버 공격 촉발할 수”=바이든 대통령은 BRT 행사에 참석하기에 앞서 백악관을 통해 낸 성명에서 “행정부는 우리가 부과한 전례 없는 경제 제재에 대응해 러시아가 미국에 대한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 반복적으로 경고했다”면서 “러시아가 잠재적인 사이버 공격에 대한 옵션을 모색할 수 있다는 진전된 첩보에 근거해 재차 경고한다”고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부 출범 첫날부터 국가 사이버 방위를 강화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을 거론, “정부는 주요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억제·저지하고 필요한 경우 대응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계속 사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부분의 미국 주요 인프라는 민간 소유이기에 소유자·운영자가 사이버 안보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블룸버그는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하면서 에너지·통신위성·의료 등 16개 분야 핵심 기반시설을 공격하지 말라고 경고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신기술담당 부보좌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매일 발생하는 사이버공격이 있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경고는 핵심 인프라에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어떤 부문이 위협을 받고 있는지 특정하길 거부하면서 “모두 디지털 문을 잠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미국 기업을 겨낭한 러시아의 해킹 준비활동을 봐왔다며 이와 관련해 지난 주 100여개 이상의 수백개의 기업을 상대로 기밀 브리핑을 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영국, 프랑스,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미 통신업체 비아셋(ViaSat)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조사하고 있다. 러시아가 배후에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 국토안보부 산하 사이버안보·인프라보안국(CISA)에 따르면 러시아는 2020년 9월까지 미 항공 부문과 지방 정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등 이전부터 광범위한 방식으로 미국에 사이버공격을 해왔다.

제임스 루이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전략기술 프로그램 책임자는 “러시아는 미국의 보복을 피하기 위해 큰 일을 할 거 같지 않다”면서도 "우크라이나에서 군사적 진전이 느린 데 대한 좌절이 소규모의 사이버 공격을 촉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뉴버거 부보좌관은 “러시아가 미국에 사이버공격을 하면 우린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