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파월 "물가 너무 높다…필요시 더 공격적으로 움직여야"
"신속해야 하고 물가 통제 때까지 금리인상"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AFP]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누르기 위해 연준이 더욱 공격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다.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날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컨퍼런스 연설에서 "노동시장은 매우 강력하지만 물가가 너무 높다"며 금리 인상은 물가가 통제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통화정책 기조를 좀 더 중립적인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신속히 움직이고, 가격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좀 더 제한을 가하는 수준으로 움직일 필요가 분명히 있다"고 매파적 발언을 내놨다.

특히 그는 "(연준) 회의 때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올림으로써 더 공격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론 낸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 발언은 연준이 앞으로 0.25%포인트씩 점진적 인상이 아닌 한꺼번에 0.5%포인트를 인상하는 '빅 스텝'을 밟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연준은 지난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현재 제로 수준인 금리를 3년 3개월 만에 0.2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

또 연말 금리 수준을 1.9%로 예상했는데, 이는 올해 남은 6번의 FOMC 회의 때마다 0.25%포인트씩 금리를 올리는 것을 의미했다.

파월 의장의 이런 인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맞물린 공급망 교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훨씬 초과하는 고물가 상황이 지속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또 세계가 결국 새로운 정상(normal)에 이를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가면 공급 측면의 문제는 해결되겠지만, 시기와 범위는 매우 불확실하고 아주 단기에 이뤄질 것이라고 가정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또 인플레이션이 향후 3년에 걸쳐 2% 근방으로 떨어질 것이라면서도 연착륙이 쉽지 않을 수 있지만 많은 역사적 선례가 있다며 "경제는 매우 강력하고 긴축 통화정책에 대응하기에 유리한 상황에 있다"고 평가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