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尹용산 이전 계획 제동…NSC통해 '안보공백' 우려 판단
文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NSC 주재
靑"더 준비된 가운데 이전 추진하는게 순리"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1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 중인 청와대 집무실 이전 등과 관련 정부 입장 등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에 제동을 걸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 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NSC를 직접 주재했다. 이날 회의는 전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행정안전부에 용산이전계획을 위한 현 정부의 협조를 공식 요청하면서 마련된 자리다.

박 수석은 또 "한반도 안보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며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은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 합참, 청와대 모두 더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게 순리"라며 "정부는 당선인 측과 인수위에 이런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을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임기가 끝나는 마지막 날 밤 12시까지 국가안보와 군 통수는 현 정부와 현 대통령의 내려놓을 수 없는 책무"라며 "국방부 합참 관련 기관 등은 마지막 순간까지 흔들림 없이 임무에 임해달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가안보실장과 국방부 장관, 외교부 장관 등 관계 장관 등의 보고에 따라 5월 9일까지 집무실을 이전할 경우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고 판단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통상 정부 교체기에 안보가 가장 취약한 것이 역대의 대체적인 상황들이었다"며 "그리고 잘 아는대로 4월 중에는 북한의 연례적 행사가 예정돼있고 올해 들어서만 10번째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미사일 발사 흐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또 "4월 중엔 한미간에 연례적인 훈련행사가 있는 시기인 만큼 이렇게 보면 4월 달 시기가 한반도에 안보에 있어서 가장 위기가 고조되는 그런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다만 청와대는 용산 이전 문제가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회동을 위한 실무 협의에는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봤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금까지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이 소통창구를 열어서 협의를 하고 있다"며 "이 문제(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는 모범적인 인수인계와는 별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윤 당선인이 22일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예산 확보 차원에서 예비비 편성안을 상정하려 한 것에 대해 "예비비 국무회의 상정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러나 언제든 협의가 잘되면 임시국무회의 바로 열어 처리할 수 있어서 그 과정은 크게 우려되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