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 여파, 사교육비 ‘역대 최고’…“등교수업 확대? 실현 어려워”
지난해 사교육비 23.4조원…전년比 21%↑
초등학생 사교육비 전년比 38.3%↑
‘저학년ㆍ예체능’ 코로나 타격 커
고소득ㆍ맞벌이ㆍ자녀 적을수록 사교육비↑
“대면수업ㆍ방과후학교ㆍ돌봄 강화”
“학생 확진자 급증해 실현 어려워” 지적
장홍재 교육부 학교혁신정책관이 11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 주요 특징 및 대응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학습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지난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사교육비가 역대 최고치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등교수업을 확대하고 방과후 학교와 돌봄교실을 정상화하는 것을 대책으로 내놓았지만,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학생 확진자가 늘면서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학교가 늘고 있어 제대로 된 해법이 될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2일 통계청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등학교의 사교육비는 총 23조4158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7년 조사시작 이후 역대 최고치다. 직전 최대치는 2009년 21조6000억원이었다.

특히 초등학교의 사교육비가 전체의 45%로, 전년에 비해 무려 38.3%나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3013개 초·중·고등학교의 3111개 학급의 교사와 학생 7만3000여 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결과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의 사교육비 총액이 10조5279억원으로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45%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38.3% 증가했다.

중학교는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27.1%로 전년 대비 17.7% 증가한 6조3480억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27.9%로 전년 대비 3% 증가한 6조5399억원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도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6만7000원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전년 대비 39.4% 증가한 32만8000원, 중학교는 14.6% 증가한 39만2000원, 고등학교는 6% 증가한 41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님이 경제활동에 참여할수록, 자녀가 적을수록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증가폭은 300~500만원 미만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의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연령대가 30~40대에 집중돼 있고 해당 연령대의 월평균 가구소득이 300~500만원 미만 구간의 비중이 높아 나타난 현상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부모가 맞벌이인 경우,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8만8000원으로 가장 높고, 사교육 참여율도 7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1명인 경우가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41만2000원, 사교육 참여율 7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증가율 역시 각각 23.5%와 10.3%p로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 52만9000원, 중소도시 35만9000원, 광역시 35만8000원, 읍면지역 24만7000원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학교급 및 학년이 낮을수록 크고, 일반교과에 비해 예체능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2020년 1월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 발생 이후 약 2년 간 학교교육 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2020년에는 사교육 시장이 정체됐지만 2021년에는 코로나19 이전 수준 이상으로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올해는 등교를 통한 대면수업으로 학사 운영을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 교육활동 위축,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과 우려가 사교육을 늘리는 선택으로 이어졌다”며 “방역을 강화해 학사운영을 정상화하고 대체학습을 내실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과후 학교 정상화와 돌봄도 확대한다.

방과후학교를 학사와 연계해 대면, 온라인, 온·오프라인 연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돌봄 운영시간을 19시까지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제한 등으로 초등 예체능 등 보충 수요가 사교육에 영향을 줬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밖에 학생들의 학습결손 해소를 위해 방과 후·방학 중 현직 교(강)사가 교과를 보충지도하는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고, 예비교사인 교·사대생 등을 통한 학습보충·담(대학생 튜터링)을 집중 추진할 방침이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학생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원격수업을 병행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어 공교육을 통한 학습결손 보완이 당분간 어렵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의당 정책위원회는 “교육부가 대체 정책수단으로 활용하던 방과후학교는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고, 학습결손에 대처하는 교육회복 종합방안은 2021년 하반기에 되어서야 뒤늦게 시작됐다”며 “이번에 발표된 역대급 사교육비는 정부의 공교육 정책와 교육당국 전체의 실패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