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 여파? 지난해 사교육비 23.4조원…‘역대 최대’ 기록
지난해 보다 21%↑…학생 1인당 월평균 36.7만원
초등학생 사교육비 전년比 38.3% ↑
‘저학년·예체능’ 코로나 학습결손 영향 커
고소득·맞벌이·자녀 적을수록 사교육비 ↑
대면수업·방과후학교 등 확대 예정
코로나19 여파로 등교수업이 제한되면서 지난해 사교육비가 전년 대비 21%나 증가했다. 특히 저학년일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늘면서 지난해 초등학생의 사교육비는 전년에 비해 38%나 늘었다. 11일 오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지난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사교육비가 급등하면서,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생의 사교육비가 전년 대비 40%가량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로 등교수업 대신 원격수업 비중이 늘면서 사교육 의존도가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학습 결손→사교육비 증가=11일 통계청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등학교의 사교육비는 총 23조4158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의 사교육비가 전체의 45%로, 전년에 비해 무려 38.3%나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 3013개 초·중·고등학교 3111개 학급의 교사와 학생 7만3000여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의 사교육비 총액이 10조5279억원으로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45%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38.3% 증가했다.

중학교는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27.1%로, 전년 대비 17.7% 증가한 6조3480억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전체 사교육비 총액의 27.9%로, 전년 대비 3% 증가한 6조5399억원으로 나타났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도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6만7000원으로, 전년 대비 21.5%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전년 대비 39.4% 증가한 32만8000원, 중학교는 14.6% 증가한 39만2000원, 고등학교는 6% 증가한 41만9000원으로 나타났다.

▶고소득·맞벌이·시도별 편차=또 사교육을 받지 않는 비율은 읍면지역이 32.8%로 가장 높고, 광역시, 중소도시, 서울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는 영어가 많고,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는 수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과 관련 사교육 수강 목적으로는 학교수업 보충이 50.5%로 가장 많았으며, 선행학습 23.8%, 진학 준비 14.2%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업 보충과 선행학습은 전년 대비 강보합세를 나타냈으며, 진학 준비는 고등학교에서 전년 대비 1.3%포인트 증가한 32.1%로 나타났다.

예체능은 취미·교양 및 재능계발이 61.9%로 전년 대비 2.5%포인트 증가한 가운데 고등학교는 진학 준비가 5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결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부모님이 경제활동에 참여할수록, 자녀가 적을수록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수준별로 살펴보면,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증가폭은 300만~500만원 미만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의 사교육비와 참여율이 크게 증가한 데에 따른 것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연령대가 30~40대에 집중돼 있고 해당 연령대의 월평균 가구소득이 300만~500만원 미만 구간의 비중이 커 나타난 현상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와 함께 부모가 맞벌이인 경우,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38만8000원으로 가장 높고, 사교육 참여율도 7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1명인 경우가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41만2000원, 사교육 참여율 7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년 대비 증가율 역시 각각 23.5%포인트와 10.3%포인트로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 52만9000원, 중소도시 35만9000원, 광역시 35만8000원, 읍면지역 24만7000원 순이었다.

▶저학년·예체능 타격 커…학사운영 정상화 방침=교육부는 2020년 1월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 발생 이후 약 2년간 학교교육 활동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2020년에는 사교육시장이 정체됐지만 2021년에는 코로나19 이전 수준 이상으로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학교급 및 학년이 낮을수록 크고, 일반교과에 비해 예체능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올해는 등교를 통한 대면수업으로 학사운영을 정상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교육 활동 위축,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불안과 우려가 사교육을 늘리는 선택으로 이어졌다”며 “방역을 강화해 학사운영을 정상화하고 대체학습을 내실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방과후학교 정상화와 돌봄도 확대한다.

방과후학교를 학사와 연계해 대면, 온라인, 온·오프라인 연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하고, 돌봄 운영시간을 오후 7시까지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장기화 상황에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제한 등으로 초등 예체능 등 보충 수요가 사교육에 영향을 줬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밖에 학생들의 학습결손 해소를 위해 방과 후·방학 중 현직 교(강)사가 교과를 보충 지도하는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고, 예비 교사인 교대·사범대생 등을 통한 학습보충·담(대학생 튜터링)을 집중 추진할 방침이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