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주대, 대학 보유 지식재산 '원스톱 기술사업화' 가속화
아주대 선구자상.

[헤럴드경제(수원)=박정규 기자]아주대가 특허청 주관 ‘2022년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앞으로 5년 동안 총 사업비 10억원을 기반으로 특허 창출부터 기술이전 및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게 된다.

아주대(총장 최기주)는 특허청·한국특허전략개발원의 ‘2022년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고 10일 밝혔다. 사업 기간은 2022년부터 오는 2026년까지 5년이며, 아주대는 매년 2억원씩 총 1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다. 이번 사업에 선정된 17개 기관 중 최대 규모의 사업비다.

‘지식재산 창출·활용 지원사업’은 대학과 공공연구소를 대상으로 특허 창출부터 기술이전·사업화까지 지식재산 전주기에 걸친 실용화 활동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허청은 ▷우수 특허 창출 ▷특허 사업화 ▷특허 기반 창업 세 가지의 모듈로 지원을 받았다. 아주대는 우수 특허 창출 부문에 지원해 선정됐다.

이번 사업 선정을 바탕으로 아주대는 ▷수요 기반 발명 인터뷰를 통한 유망 기술의 선별·출원 ▷조기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위한 기술 마케팅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해외 특허 출원을 위한 제반 비용으로 이번 지원금 예산의 20%까지를 활용할 수 있어,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한 해외 특허 출원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진구 아주대 기술사업화팀장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우리 대학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조기에 발굴, 사업화로 이어지게 하는 ‘원스톱 기술사업화’를 가속화 할 수 있게 되었다”며 “우수 특허 창출을 위한 기반을 강화하고 유망 기술의 사업화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사업화란 대학 내 연구진의 연구 활동을 통해 얻은 성과를 기술이전이나 창업 등을 통해 사업화하는 것을 말한다. 성공적 기술사업화를 통해 대학에서는 연구 성과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기업·국가 경쟁력의 증대와 고용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아주대는 기술사업화 부문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면서 기술이전수익 증가세를 5년째 이어왔다.

지난해 교육부 대학정보공시를 통해 발표된 대학 기술이전수익 현황에 따르면, 아주대는 2020년 기술이전수익 33억50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대학 중 7위에 해당하는 규모로, 정보 공시에 참여한 전국 대학들의 평균 기술이전 수익은 7억1000만원 상당이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