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국내 기업들이 갈수록 매출 증가에도 고용을 늘리지 않으려는 경향이 짙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은행의 '성장과 고용간 관계:기업자료 이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4∼2019년 기업활동조사 자료(50인미만 업체 제외)를 바탕으로 고용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2017∼2019년 0.27%포인트(p)로 집계됐다. 이는 2014∼2016년(0.31%p)보다 낮다.
고용민감도는 매출 증가율 1%p 변화에 대한 고용 증가율 변동 폭이다. 다시 말하면 앞선 3년 사이에는 매출 증가율이 1%p 오르면 고용 증가율이 0.31%p 높아졌지만, 이후 3년은 같은 조건에서 고용 증가율이 0.26%p 상승에 그쳤다는 뜻이다.
고용민감도 둔화 현상은 300인이상 제조업, 300인미만 서비스업에서 강화했다. 특히 매출이 증가한 300인미만 서비스업체만 분석했더니, 고용민감도가 2014∼2016년 0.28%p에서 2017∼2019년 절반 이하인 0.13%p로 떨어졌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이에 대해 "경쟁 심화로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약해지면 비용이 가격으로 전가되기 어려워 매출원가율(매출원가/매출액)이 상승한다"며 "서비스업 가운데 숙박음식, 정보통신, 사업시설, 부동산업 등의 매출원가율이 높아져 매출이 늘어도 쉽게 고용을 창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매출이 늘어난 300인이상 제조업체의 고용민감도 역시 0.37%p에서 0.28%p로 내려갔다. 기계장치에 대한 설비투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노동생산성 수준에 따라 나눠보면, 생산성이 높은 기업의 고용민감도가 더 낮았다. 한은은 노동생산성이 높을수록 고용 창출보다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 효율화에 더 적극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특히 서비스업에 속한 300인미만 고생산성 기업의 고용민감도가 크게 낮아졌다.
송 과장은 "고용민감도 둔화는 소규모 서비스업(50인이상 300인미만)의 고용창출력 약화에 상당 부분 기인한다"며 "서비스업 고용 증가는 신생 기업이 주도하는만큼, 신생 서비스업체에 대한 고용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창업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yjsung@heraldcorp.com